남해(선소)왜성 본성 정문 앞 표지판
남해(선소)왜성 본성 정문 앞 표지판

지난 11월 4일 군은 문화재 전문가들을 불러 ‘전문가 검토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전문가들은 “야영장시설을 위해 진입로 확장, 옹벽 설치, 평탄 작업 등을 하면서 남해왜성의 지성 성벽이 전체적으로 훼손됐다. 특히 진입로 확장으로 북쪽 부분 성벽 파괴가 확실하다”고 결론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지난 9일 유적 훼손과 관련한 조치사항을 남해군에 통보했는데 ▲즉시 공사 중단 ▲무단 훼손 방지를 위한 보호 조치 ▲문화재와 그 주변 지역의 발굴조사 등 보존대책 수립 ▲선소왜성 지성의 문화유적분포지도 반영 등을 요구했다. 또 지난 16일에는 매장문화재 보존대책을 위한 전문가 검토회의에서 전문가들은 ▲사업부지 맨 하단 부분 시굴조사 ▲석축 훼손 부분에 대한 시굴조사와 복구 ▲문화재 조사 후 문화재 분포지역으로 포함시킬 것 등을 요구했다.

‘17년 동안 남해왜성 지성 유적 방치, 합동조사도 못 해’ 

이번 남해왜성의 지성 유적지 훼손과 관련해, 유적지 파괴를 초래한 남해군의 부실한 문화재 관리 행태와 부서간 협업ㆍ소통의 부족 문제도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남해왜성의 본성은 지난 2004년 조사와 시굴을 거쳐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으로 공식 지정됐고 문화유적 분포지도에 반영됐으며 본성의 입구에 이를 설명하는 표지판도 세웠다. 반면에 남해왜성 지성에 대해서는 자료와 증인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17년 동안 남해군은 공식적으로 이를 확인하거나 조사하지도 않았다. 더구나 남해왜성 본성의 입구에 세워 둔 표지판에는 “선소왜성은 선소마을 북쪽 해발 44m 정도의 구릉에 위치한 본성과 그 남쪽 구릉 일대에 위치한 지성으로 구분된다”고 명시돼 있고 표지판 지도에도 남해왜성의 외성 지도가 명확하게 표시돼 있는데도 현장 조사를 하지 않았던 남해군은 이를 모른 채 방치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 8월 야영장 공사 허가 전에 문화재팀과 도시건축과 공무원이 함께 현장에 나가 확인을 했다면 문화재유적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을 텐데 무슨 이유인지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한다. 유적 관리 문제와 관련해 군 관계자는 “군에서 확인된 문화재유적지는 총 395곳이다. 적은 인력으로 이 모든 곳을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문화재 관리를 비롯해 필요한 공공업무 수행을 위해 남해군이 부족한 인력 확보와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해 공공재 관리와 공적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