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상 봉 작가
백 상 봉 작가

영지리는 선령곡(仙靈谷)의 영자와 약제인 지초(芝草)의 지자를 따서 이름을 지었으며 한자로는 신령 령(靈) 지초 지(芝)자를 쓰며 영지버섯이 생각나는 마을 지명이다. 주민들은 사는 마을이 신선이 사는 신령스러운 땅, 영지(靈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은 지명이 아닐까? 선령골은 소슬령 솟을령과 같은 말로 솟다와 섰다가 같은 의미를 가진 지명으로 추정을 한다.

시문(矢門)리는 시문동(矢門洞), 살문이라고 하며 한자로는 화살 시(矢) 문 문(門)자를 쓴다. 고려 말 백이정 선생이 내려와 살면서 홍살문을 세웠기 때문에 그 때부터 시문리로 불리었다고 한다. 살문은 왕릉이나 향교 서원 등에 세웠던 문으로 두 개의 기둥을 세운 위에 붉은 화살을 세워 가운데 태극문양을 넣어 신성한 곳임을 알리는 곳으로 홍문(紅門, 紅箭門)이라고도 하였다. 삼국 시대부터 전해지는 것으로 조선의 유교 사상과 부합되어 충신 효자 열녀의 집 앞에 세워 표창과 경의의 정표로 사용하였기에 정문(旌門)이라고도 한다. 화살은 잡귀를 쫓는 의미이고 붉은 색 역시 귀신이 싫어하는 색으로 사용한 것이다.

수곡(袖谷)마을은 마을의 앞산이 긴 소매와 같다고 하여 소매 수(袖) 골 곡(谷)자를 쓰며 소매골 이라고도 부른다. 소매골은 전국 여러 곳에 있는 지명으로 산줄기나 골이 소매처럼 길다는 뜻과 소를 메어놓았던 곳이라고도 한다. 삼막골은 지형이 세 마리의 말이 끄는 것 같아 삼마골(三馬골)이라 하기도 하고, 삼을 재배하던 삼막(蔘幕)이 있어 삼밭골이라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고암(鼓巖)마을은 북쪽에 북처럼 생긴 북섬의 북 고(鼓)자와 동쪽 산 끝에 있는 큰 바위의 바위 암(巖)자를 빌려서 지은 지명이다. 북섬은 고도(鼓島)나 섬북섬으로 불리며 무인도이다. 동북쪽에는 소슬령 고개가 있고 북섬과 지족사이에는 해안의 굴곡이 심하여 농기구인 쇠스랑을 닮았다하여 소시랑 곶이라 불린다. 

수장포는 소매 수(袖) 길 장(長)자를 쓰는 마을이지만 난곡사 뒤에 있는 관방성비에는 수장포(水杖浦) 물 수(水) 지팡이 장(杖)로 되어있어 어느 것이 옳은 지명인지는 알 수가 없다. 문맥이나 지형을 볼 때 장당산에서 내려 뻗은 소매의 끝에 있는 포구로 추정을 하며, 소매 길은 한복의 몸통과 소매가 연결되는 부분을 이르는 고유어이며, 손도라는 지명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갈현(葛峴)마을은 갈곡, 갈고개라고 불리며 긴 골짜기에 칡넝쿨이 무성해서 칡 갈(葛) 고개 현(峴)자를 쓴다. 골이 깊어서 주변 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받아 저장하는 갈곡 저수지가 있다.

고잔 마을은 곶(串)안에 있는 마을로 꽃안이라고도 하며 곶(串)밖의 마을은 꽃밭이 되어 화전(花田) 이라고도 하였다. 강촌(姜村은 강 씨들의 집성촌으로 몰골이라고도 한다. 

입포(入浦)마을은 들 입(入) 개 포(浦)자를 쓰며 뒤린개 드린개로 불리며 바다가 안쪽으로 들어온 마을 이지만 지금은 간척 사업으로 이름만 남아 옛 지명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지족(知足)리는 수장포에서 애목 고개를 넘어가면 만나는 마을로 알 지(知) 다리 족(足) 자를 쓴다. 이곳에서 창선도로 건너가려면 가던 길을 멈추고 나룻배를 기다려야 했기 때문에 발길을 멈추는 것을 알게 된다 하여 지족이라 불리었다 한다. 하지만 지족은 예부터 많이 알려진 말로 少欲知足(작은 것으로 만족한다), 知足榮樂(족한 줄 알면 항상 즐겁다), 安分知足(편안하게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 안다)등으로 사용되어 왔기에 지명의 유래로는 합당하지 않으며, 옛 지도에도 다만 지(只) 계레 족(族)자를 써 나루를 건너기 위해 모일 수밖에 없는 곳이라는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마주보는 창선면의 지족은 진주목 읍지에 “지족진(只簇津)은 관 동남쪽 15리 창선과 남해 경계에 끼어 있는데 나룻배 한척이 있어 왕래하고 나루터 북쪽 기슭에 원사가 있다.” 고 지도에도 지족암진(只族岩津)이 있으며 창선을 건너는 나룻배 한 척이 있다고 적고 있어 창선과 남해가 같은 지족(只族)으로 불리었음을 알 수가 있다. 지족리는 지족(只簇. 智足洞, 支族)과 같은 다른 지명이 있고 지족암원(只族岩院), 지족암 서원(書院)이 있었던 곳으로 정확한 지명의 유래는 알 수가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모여 꽤 번잡한곳이었음을 알 수가 있고 지금도 지역의 중심이 되는 마을 이다.

와현(瓦峴) 마을은 기와를 굽던 마을로 기와 와(瓦) 고개 현(峴)자를 쓰며 애앤목 애목이라고도 불린다.

마을 앞에 있는 농가(弄歌)섬은 희롱 할 롱(弄) 노래 가(歌)자를 쓰며 주민들이 와서 놀던 섬이라 한다. 롱가는 국어사전에는 한국 전통 가곡의 하나로 높거나 낮지도 않은 평탄한 중간 소리로 시작하는 데서 나온 이름이라고 하니, 롱가 보다는 농사가 끝나고 같이 어울러 농가(農歌)를 부르며 놀던 곳이라는 생각을 한다.

육지에서 160미터나 떨어진 섬으로 배를 타고 갔다기보다 주변에 북섬 장고섬이 있으니 자연히 북 치고 장고 치며 노는 섬이 된 것으로 본다. 지금은 다리로 연결이 되어 있고 다리 중간에는 죽방렴이 있어 이 지역에서는 인기 있는 카페로 자리를 잡고 있다.

장고(長鼓)섬은 섬의 형태가 장고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원등(院嶝)은 원님이 기다리던 마을 이라고 한다. 이 밖에도 새터몰(샛뜸), 동산마을(동뫼), 너무개(넘어개) 등의 지명이 남아있다. 

창선과 지족리 사이에는 좁은 해협이 있어 손도라고 불리며 손도는 좁다는 뜻의 솔다에서 나온 말로 좁은 길이란 뜻이다. 이곳은 물살이 빨라 죽방렴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잡았으며 지금도 같은 방법으로 물고기를 잡고 있다. 

죽방렴(竹防廉), 대나무 어사리는 좁은 바다 물목에 나무 기둥을 세운 다음, 기둥과 기둥 사이를 대나무 발이나 그물로 엮어서 물고기를 잡는 어로 방식이다. 지족해협은 거센 물살이 지나는 좁은 물목으로 멸치를 대표 어종으로 하며, 이 일대는 고유한 어획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은 우리나라 전통적 어업경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경승지로 2010년에 명승 제71호로 지정되었으며 전통 어로 방법은 2019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족리에는 창선을 이어주는 창선교(昌善橋)가 있다. 창선교는 길이 438m, 너비 14.5m이다. 다리 높이는 7m이며 1995년 12월에 개통되었다. 남해도와 창선도를 잇는 다리로 일반국도 3호선이 연결된다. 본래 1980년에 준공된 창선교가 있었으나 1992년 7월에 붕괴되어 그 자리에 다시 세운 아픈 역사를 안고 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