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상 봉 작가

선구리는 잣나무가 무성한 어촌으로 배가 많이 드나들어 잣나무 백(栢) 수풀 림(林)자를 백림(栢林)으로 불리다가 선구로 고쳐 부른 마을이라고 한다. 다른 지명 유래는 신선이 놀던 곳이라 하여 선구(仙仇)라고 하였다고 한다. 선구리는 배 선(船) 원수 구(仇)자를 쓰고 우리말 지명은 배금, 배구미라고 읽었다. 이는 백림에서 와전 된 것이라고 하지만 백림은 배기미의 한자표기로 본다. 백임-배김-배기미로 바뀐 것일 뿐이다.  

선구리의 옛날 지명은 선구미리(船仇味里)였으며 이는 배를 한자로 옮기면서 선자를 사용한 것은 누구나 알 수가 있다. 하지만 구미는 한자의 의미가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는 선구리의 지명이 船仇味-船九味-船九-船區-仙九-仙區로 바뀌는 과정에서 앞의 배 선자는 그대로 있으면서 구미가 바뀌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가 있듯이 구미는 지형이 움푹 들어간 곳을 의미하는 우리말로 갈구미, 놋기미, 갈금 등으로 남아있다. 또 구미는 기미나 금으로 변하기도 한다.

신선이 옥피리를 부는 형상의 마을이라는 뜻으로 신선 선(仙) 구역 구(區)자를 쓰게 된 것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지은 지명으로 원래 지명과는 무관하게 뜻이 좋은 것으로 바꾼 것이다.

그렇다면 배구미가 선구미로 바뀌는 과정이 단순한 한자의 차용으로 보면 배가 닿는 굼턱으로 볼 수 있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지명이 지어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의문을 풀 수가 있다. 많은 지명 연구가들이 밝힌 바에 따르면 산의 고어가 받이며 받은 박, 백, 배로 바뀐다고 한다. 따라서 백림은 산림이며 배굼턱은 산굼턱인 것이다. 백림에서 와전 되었다기 보다는 산이 배로 바뀌는 과정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는 지명이다.

항촌마을은 목 항(項) 마을 촌 (村)자를 쓴다. 우리말 지명은 너설, 네리라고 한다. 한자를 그대로 풀면 목마을 이다. 마을 뒤에 응봉산에서 내리 뻗은 매상골이 있고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넓은 평지가 있어 버든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앞에는 목섬이 있다. 조선지형도에는 섬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육지와 이어진 부분이 목이 되어 항도가 되었으며 항촌이란 지명도 항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항도부터 선구까지 이어진 몽돌해안은 길이가 1km나 되며 소나무 숲도 이어져있다. 항촌에서 가천 까지는 깎아지른 해안 절벽으로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곳이지만 대양을 바라보는 경치는 우리나라의 어느 해안에 못지않은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버든은 버덩의 방언으로 나무가 없고 풀이 무성하게 자란 높고 평평한 땅을 이르는 말로 여러 곳에 버덩마을이 있다. 너설은 험한 바위나 돌들이 뾰족하게 모여 있는 곳을 이르는 말이다.

임포리의 옛 이름은 깨골이라고 한다. 동쪽에는 군자곡이 있고 남쪽에는 운암산이 있으며 북쪽에는 옥녀가 강림 하였다는 옥녀봉이 있다. 전설에 의하면 옥녀는 군자를 봉양하기 위해 서쪽 시루봉 아래 샘이 있는 곳에 음식의 맛을 좋게하기 위해 깨를 많이 심어 깨골이라 하였으며 한자로는 임포(荏圃)라 하였다가 뒤에 임포(荏浦)로 바꿨다고 한다.

임포리는 깨 임(荏) 개 포(浦)자를 쓴다. 그대로 풀이하며 깨개가 되지만 임포리는 바다와는 거리가 먼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 임포(荏圃)로 쓰는 게 맞다. 그리고 임(荏)자는 들깨나 콩을 뜻하는 글자로 사용되며 참깨는 호마(胡麻)나 진임(眞荏)으로 쓰고, 들깨는 백소(白蘇) 수임(水荏) 야임(野荏)등으로 쓴다. 임포는 깨골이나 임곡(荏谷)으로 불리었는데 이는 개골창이나 깨골창 같은 고유어에서 온 골짜기를 일컫는 말이 아닐까하는 추정과 함께 깨구리 바위가 있는 것도 지명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본다.

전국에는 여러 곳에 깨골이 있다. 깨골의 유래를 살펴보면 깨농사가 잘 되는 곳이다. 깨밭이 있어 깨를 많이 심은 곳이다. 개구리가 많은 골짜기 등으로 전해온다. 관미산과 장등산 사이에는 제일밭골, 새터골, 보리밭골, 배나무골, 행당골, 송정골, 죽정골, 가는 골, 어전골, 뒷골이 있고 골에서 흘러내린 물이 깨골천(임포천)으로 흘러들어 바다로 간다. 

사촌마을은 모래 사(沙) 마을 촌(村)자를 쓰니 모래가 많은 마을이라는 뜻이며 우리말 지명은 모래치나 모래실로 부른다. 사촌이라는 지명은 여러 곳에 있으며 해안이나 강가에 모래가 많은 지역이거나 사기그릇을 구워 팔던 사기점(沙器店)이 있던 곳이다. 시루봉과 옥녀봉 사이 작은 해안에 모래사장과 송림이 있어 해수욕장으로 인기가 높다. 

운암 마을은 마을 건너편에는 기암절벽의 관미산과 갈모 모양의 갈미봉이 구름위에 떠있는 것 같아 구름 운(雲) 바위 암(岩)자를 쓰서 운암이라 부르고 우리말 지명은 구름방이라고 한다.

선구마을에는 해마다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랫마을과 윗마을을 편으로 나누어 몽돌 해안에서 줄끗기를 한다. 이는 전통적인 세시풍속으로 그 역사가 오래된 지방의 민속놀이이다. 마을 주민들은 이 놀이를 통해서 풍농과 풍어를 기원했고 해난사고의 방지와 마을의 번영을 빌었으며 또한 주민 단합을 도모해왔다. 그러다가 일제 강점기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으로 놀이가 일시중단 되었다. 1947년부터 소규모행사로 몇 년에 한 번씩 하다가 1989년부터 향토문화 연구가 김찬중에 의해 본격적으로 재현되어 현재까지 남해군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정착하게 되었다 고한다. 

대보름날이 되면 아래 당산에서 먼저 당산제를 지낸 다음-어불림-필승고축-고싸움-줄끗기-달집태우기 순서로 진행된다. 줄끗기에 사용하는 줄은 1개의 고에 문어발처럼 된 네 가닥의 작을 줄을 매달아 만든다. 줄끗기에서 암고와 숫고를 연결하여 암고가 이기면 풍농, 풍어가 된다고 믿고 있다. 줄끗기가 끝나면 승부에 관계없이 달집태우기를 하면서 화합을 다짐한다. 선구줄끗기는 2003년 6월 12일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이와 같은 민속놀이는 설천면 덕신리에도 있어 마을을 가로지르는 하천을 중심으로 편을 나누어 줄다리기를 하던 어릴 적 생각이 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