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현재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경남의 농가소득을 2026년까지 5700만 원, 전국 4위권으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를 세우고 올해 8월 수립한 ‘경상남도 농업발전 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지난 22일 발표했다. 

경남도는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최근 5년간(2018년~2022년) 조사대상인 9개 도(道) 중 최하위인 9위를 기록했다고 밝히면서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종합계획은 농가소득의 감소 원인과 대책을 면밀하게 분석한 후, 경남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G5 농업혁신, 잘사는 경남농촌’이라는 비전으로 표현했다. 경남농업의 5대 혁신 방향은 ①Gyeongnam(경남특화농업), ②Grand(규모화), ③Green(친환경), ④Global(수출 경쟁력 강화), ⑤Good(좋은먹거리)이다. 

이에 따른 ‘4대 전략 20대 추진과제’는 앞으로 경남도가 2022~2026년까지 총사업비 3조 1,127억 원을 투입해 중점적으로 추진해나갈 구체적인 실천과제들이다. 

경남농업의 4대 전략은 ▲미래농업 혁신기반 조성 ▲농업 생산·유통·수출의 스마트화 ▲농가경영 안전망 확충 ▲풍요롭고 매력적인 농촌 조성이다. 

경남도는 지난 2월부터 민관 전문가가 참여한 농정분야 특별팀(TF)을 구성해 학계·농민단체·연구기관에 소속된 전문가에게 경남의 농가소득이 낮은 원인과 대책을 자문하고,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등 관계 기관과의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지난 11일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경남도가 마련한 종합계획의 분석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경남의 한 호당 연간 농가소득은 4101만 원으로 전국 평균인 4600만 원의 89% 수준이다. 농가소득을 구성하는 항목별 분석을 보면 농업 외 소득, 이전소득은 전국 평균에 가까운 수치(95% 수준)를 보였으나, 농업소득은 전국 평균의 절반 정도(54.8%)에 머물렀다.

경남도는 러-우 전쟁으로 인한 세계 경제 불확실성, 이상기온 심화, 원자재·농자재 가격상승과 같은 국내농업 전체를 위축시키는 악조건 속에 특히, 경남의 농가소득이 낮은 원인을 ▲차별화된 특화 전략의 미흡 ▲경남의 높은 영세·소농의 비중 ▲농업 경영비의 과다 소요 ▲유통 비용의 과다 투입 등 크게 4가지로 꼽고 그에 맞는 대책을 정리했다. 특히, 경남도는 이번 종합계획에서 농업총소득은 올리고 비용은 낮춰 전국 평균 대비 매우 낮은 ‘농업소득’을 올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경남도는 차별화된 특화전략으로 ‘미래·첨단 농업 육성’을 제시했다. 경남도는 청년 농업인을 육성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게 하고, 농생명 분야의 강점을 살려 그린바이오 산업을 발전시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키위·만감류·아열대 작물 등을 재배하는 새로운 소득·특화단지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 경남도는 높은 영세·소농 비중의 해소를 위해 보조사업의 대상을 구분해 전업농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농지연금의 지원대상 기준 개정을 정부에 건의해 고령·이농인의 경영 이양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계획이다. 

높은 농업 경영비 지출에 대한 대책으로 경남도는 밭작물 기계화율을 높이는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조사료 생산기반과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 시설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고질적인 일손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계절근로자 등을 활용해 인력 중개도 확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