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내 각 시·군의 인구구성과 노동여건, 산업구조 등을 토대로 볼 때 남해군은 농림어업 중심형도 아니고 산업기반 준도시형도 아닌 ‘변화 가능성이 높은 공동체형’이라는 평가가 나와 관심이 모아진다. 남해군은 농림어업 의존도가 높기는 하지만 인구나 산업구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편중되지 않아서 나온 평가로 풀이된다. 이런 평가 자료들을 토대로 남해군의 미래를 그려보는 자료로 삼으면 유익할 것으로 보인다. 

경남연구원은 최근 ‘경남 군지역 민선8기 일자리정책 동향과 특징’이라는 제목의 진단 보고서를 내놨다. 이 보고서에서 경남연구원은 경남도내 10개 군지역의 노동수급 여건과 일자리사업 추진체계, 주요 내용 등의 특징을 진단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군지역 중 경제활동의 핵심 연령대인 15~49세 인구(2022년 기준) 비중이 30% 이상인 지역은 2곳(함안, 거창 각 33.5%)에 불과하며 남해군을 포함해서 그 외는 50대~74세 인구가 45%를 넘는다. 

또한 제조업체(2021년 기준) 비중이 의령(18.6%), 거창(18.3%), 창녕(25.9%), 함안(49.7%)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나, 그 외 지역은 전체 사업체의 10% 수준이다. 거창, 창녕, 함안을 제외한 지역은 농림어업 취업자 비중이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조건에서 도내 군 지역의 노동시장은 시 지역에 비해 산업적, 인구적 측면에서 더 취약해 고용노동 현안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개입이 더 필요하지만 정책추진 체계, 사업 예산, 인적자원(전문가, 협력기관) 등의 측면도 열악해 일자리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더 큰 편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장년·노인 인구비중이 높고 농림어업 중심 지역을 ▲‘농림어업 중심 공동체형’(1유형), 농림어업 의존도가 높긴 하지만 연령별 인구 비중이나 1·2·3차 산업구성 편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을 ▲‘변화 가능성 높은 공동체형’(2유형), 산업과 고용창출 등 산업기반이 잘 갖춰진 지역을 ▲‘산업기반 준도시형’(3유형)으로 분류한다. 남해군은 ‘2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1유형에는 산청군과 하동군, 합천군이 포함됐으며 2유형에는 남해군, 의령군, 함양군이 속한다. 3유형에는 거창군, 고성군, 창녕군, 함안군이 포함된다. 남해군이 포함된 2유형은 농림어업 중심 공동체형보다 새로운 성장산업 육성(해양레저, 무인비행장치, 친환경농업, 농수산물가공 등), 노동여건 개선을 위한 제도 및 정책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남해군(2유형)과 관련해 보고서에서는 1유형, 2유형은 3유형에 비해 농림어업, 농어촌, 귀농·귀촌인, 외국인 계절근로자나 농촌인력 해소 등을 위한 제도적 기틀이 잘 마련되어 있으며 산업 육성 및 지원에 있어서도 친환경농업, 치유농업, 우리밀산업, 항노화산업 등 지역 농업을 활용한 창업, 교육훈련 등에 관한 사항을 담고 있는 제도 중심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라고 평가한다. 

이 보고서는 경남연구원 누리집(http://www.gni.re.kr)의 ‘브리프’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