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붕괴 시작, 지역 소멸 위기” 지방대 정원의 절반도 못 채워
2024년 대학정원의 41% 입학자원감소, 지방대학 40%가 문 닫게 될 수도… 2024년 이후 남해대학은 어떤 모습일까

2월 27일 끝난 2021학년도 입시 기간 중 언론에서 가장 많이 듣고 보았던 것이 ‘지방대의 위기’, ‘지방대 소멸’, ‘정원 미달 사태’ 등과 같은 위기와 위태로운 상황 표현의 기사들이다. 지난 1월 행정안전부가 지난해 주민등록인구가 2019년보다 2만명 넘게 줄었고, 특히 출생아가 역대 최저치인 27만여 명으로 30만명 선이 무너졌다고 발표했다. 1990년 출생자 수 65만명이 2017년 36만명, 2020년 27만5000여 명으로 급속히 줄고 있다. 그 결과 출생아가 사망자보다 적은 ‘인구 데드 크로스(Dead Cross)’ 현상이 당초 예상보다 9년이나 앞당겨 시작됐다는 것이다.
이런 뉴스에 온 국민이 함께 걱정하는 가운데서도 가장 큰 충격을 받은 곳이 교육기관이고, 대학일 것이다. 2021년 새 학기 강의가 시작됐는데도 신입생 모집에 대규모 미달사태를 빚고 전국 162개 4년제 대학이 부득이 2만 6000여명 추가모집에 나섰지만, 6차·7차까지의 추가모집에도 끝내 미달 인원이 무려 1만명에 달했다. 지원자가 1명도 없는 곳도 있었고, 추가 모집인원이 100명 이상이면서 지원자 0명인 대학도 전북의 거점 국립대인 군산대와 목원대 2곳으로 나타났다. 
우리군 인근에 있는 경상대 통영캠퍼스는 모집 56명에 지원자 9명, 전남대 여수캠퍼스는 모집 198명, 지원자 118명이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 대학의 암울한 미래를 예견할 때 자주 회자되는 말이다. 수도권에서 먼 벚꽃이 피는 지역에서부터 순서대로 문을 닫는 학교가 생겨날 것이라는 의미다. 
대부분의 군민은 남해대학이 남해읍에 있고 전국의 대학중 취업이 가장 잘 되는 곳이고, 학교 또한 잘 운영되고 있어 다행이다는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었는데 연초부터 인구문제, 지방대학 문제를 거의 매일이다 시피 언론과 학계, 전문연구기관에서 문제를 제기하며 나서고 있어 더욱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전문가 대부분의 예상대로 충격과 위기가 눈앞의 현실로 나타났다. 부산, 광주, 대전 소재 대학들 역시 미달 사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소멸의 문제까지 직면하게 된 것이다. 

‘대학 붕괴’ 시작… “고교생만으로 운영하는 시대 끝나”

전문가들은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붕괴’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은 학생 감소가 너무 빨라서 해외에서 참고할만한 대응 방안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남해대학도 학령인구 감소가 계속되는 현실에서 비상 대책을 세워야 하지 않을까 지난해 교육부의 대학혁신지원방안 발표에서 2024년에는 입학자원이 12만4천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이는 비수도권 대학 전체 정원의 41%에 해당하며 지방대학 40%가 문을 닫게 될 수도 있고 이는 그 지역의 경제가 함께 붕괴할 수밖에 없는 재앙 수준의 위기가 수년 뒤에 닥칠 것"이라며 경고하고 있다. 남해대학을 포함한 지방대학의 신입생 미달 사태는 극심해질 것이 명약관화(明若觀火)하다. 

지방대학 위기가 발등의 불로 현실화 되자 최근 부산시의 동부산대학이 자진폐교를 밝혔다. 전북 군산시 서해대학도 지난해 3월 교육부에 자진 폐교를 신청했다. ‘잘나갈 때’ 서해대 재학생은 4000여 명이었다. 그러나 신입생이 2017년 548명, 2018년 387명, 2019년 86명으로 급감했다. 2020년은 11명이 등록을 했지만 학교 측이 받지 않았고, 짜장면집, 김밥집이고 다 없어지고 서해대 인근 상권이 슬럼화되고 완전히 무너졌다고 한다.

남해대학에 대한 지원 대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읍 상인들은 “대학이 없어질 것이라고는 상상도 해보지 않았지만, 없어진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경상남도, 남해군과 남해대학이 협력체제를 구축, 남해대학이 요구하는 실질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솔직히 경남도의 생각을 알기 쉽지 않지만 경남도가 어떤 생각을 하든 남해입장에서는 꼭 있어야 하는 대학인 것이다. 

우선 남해대학의 숙원인 기숙사 지원사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4명이 거주하는 기숙사는 2명또는 단독거주 시설로 만들어야 한다. 
남해소재 고등학교에서 지원하는 인원이 전체 10%도 안되고 90%이상의 학생을 외부에서 유치해야만 하는 입장에서 기숙사 시설과 수용능력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지역출신의 힘있는 중앙정치권의 지도자와 경남도, 남해군이 머리를 맞대고 사업비를 확보해서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지만, 대학에서도 매년 전국 최고의 성과를 내는 취업률 유지를 위해 모든 역량을 쏟아야 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통한 스스로의 뼈를 깎는 혁신(革新)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수도권, 경남에서 가장 먼 남해대학까지 오게하는 중요한 선택기준은 취업률일 것이다. 취업률 85.2%인 간호학과의 신설이 남해대학의 미래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호남권 소재 대학 중 취업률이 높은 대학은 초당대로 74.8%다. 사회복지상담학과, 간호학과, 항공정비학과 등 취업률에 유리한 학과 때문이라고 한다. 신입생 입장에서는 대학 진학이 쉬운 상황에서 취업률이 높은 대학 간호학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전임 홍덕수 총장의 전국 최초 국공립대에서 항공정비학부를 신설한 성과와 같이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도록 혁신과 변화를 추구 하겠다”는 제8대 조현명 총장의 취임일성처럼 간호학과 신설의 성과를 기대해 본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남해대학을 바라본 기존의 입장과는 다른 사고의 대 전환이 필요한 시대이다. 젊은 인력이 없는 도시는 서서히 죽어가는 도시다. 젊은이들이 없는 도시는 창업을 포함한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남해대학은 남해읍 경제에 있어 핵심축이다. 대학과 지역의 상관관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남해대학 위기와 인구감소, 지방의 소멸에 대한 정책적인 해법은 남해미래를 위해 가장 우선해야할 정책이자 선결 조건이다. 학령인구의 감소나 고령사회의 진입이라는 현실 앞에서 남해대학과 남해군이 선택해야할 합리적인 정책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