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과 달리 5명의 후보가 대거 출사표를 던져 치열한 접전이 예상됐던 남해군수협장 선거 개표 결과 박영일 후보가 비교적 무난하게 당선됐다.

21일 투표함이 군청회의실에 속속 도착하면서 개표를 시작한 결과, 박영일 후보가 31%(1135표)의 득표율을 나타내며, 21%(757표)의 득표율에 보이는데 그친 김동식 후보를 비교적 큰 표차(378표)로 따돌렸다.

이홍철 후보와 박영효, 이선도 후보는 각각 20%(737표), 17%(609표), 10%(367표)의 득표율을 보이는데 그쳤다. 이번 선거는 4749명의 선거인수 중 3613명이 투표에 참가해 76%의 투표율을 기록했고 무효투표수는 모두 8표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번 선거도 전체적으로는 지난달 24일 치러진 농협장 선거와 별반 다를 바 없이 지역적 구도로 치러졌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실제 투표구별 후보자 득표율을 살펴보면 비교적 고른 득표율로 당선된 이동면 화계 출신의 박영일 후보도 제2투표구(이동ㆍ남해읍ㆍ서면)에서 47%(387표)의 득표율을 보이며 선두를 지켰을 뿐이다. 이같은 득표율은 박 후보의 출신지인 이동면만 놓고 본다면 휠씬 상회할 것으로 보여 이번 선거도 여전히 지역구도 속에 치러진 것으로 보인다.

또 남면 유구 출신의 이선도 후보도 제1투표구(남면)에서 37%(186표) 득표율을 기록해 선두를 유지했고, 설천 진목 출신의 박영효 후보도 제3투표구(고현ㆍ설천)에서 50%의 득표율로 지역별 1위를 기록했다.

아울러 삼동면 지족 출신으로 이번 선거에 함께 출마한 김동식, 이홍철 후보 역시 각각 제4투표구(삼동ㆍ창선)와 인근 제5투표구(상주ㆍ미조)에서 30%(329표)와 51%(313표)의 지지율을 보이며 선두를 유지했다.

이에 따라 올 들어 치러진 2차례의 조합장 선거에서 마을별 혹은 면별 지역적 구도가 선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치러질 5ㆍ31일 지방선거가 얼마나 인물과 정책대안 중심으로 치러질지 우려된다.

인물과 정책 선거문화보다 지역적 구도의 선거는 지역적 갈등이나 분열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지역구도 중심의 선거에서 조합원수가 열세인 이동지역에서 조합장을 배출할 수 있었던 것과 관련, 일각에서는 박영일 후보가 4년 전부터 꾸준히 이번 선거를 준비해와 지역별로 고른 득표를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지난해 10월 이번 선거에 유력한 후보인 현직 조합장의 불구속 기소 사건이 조합원 사이에 알려지면서 회자된 것이 이번 선거에 큰 변수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현재 재판이 진행중인 이 사건과 관련 김동식 후보는 현재까지 이 사건은 수협의 업무 전반을 알고 있는 음해성 투서에서 비롯된 선거전략이라며 자신의 결백을 호소하고 있어 진위여부가 가려지지 않은 채 이번 선거가 치러져 아쉬움을 남겼다.

아울러 일각에서는 이번 선거도 인물이나 정책보다 지역구도 속에 치러질 것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같은 지역 출신의 두 후보가 함께 출마해 표가 분산된 것도 박 후보가 비교적 무난하게 당선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분석이다.

그런데 이번 선거에서는 특히 이홍철 후보와 박영효 후보 등 신진인물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이홍철 후보는 사환에서부터 전무까지 35년간의 수협생활을 통해 누구보다 수협업무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며 지지를 호소했었다.

선거 과정에서 많은 조합원들은 이 후보가 과거 수협 직원으로 근무할 당시 현장에서 발로 뛰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해 이번 선거에서 약진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또 어민들의 추대 형식으로 이번 선거에 나선 박영효 후보도 어촌계를 중심으로 한 어민들의 지지를 끌어안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선도 후보의 경우는 제1투표구에서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지만 인지도의 열세로 다른 투표구에서 폭넓은 득표율을 얻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는 이야기가 항간에 회자되고 있다.

한편 군민들은 올 들어 연이어 치러진 조합장 선거 이후 후보자뿐 아니라 관련 조직, 유권자 사이에도 반목과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고 우려하고 일꾼을 뽑는 선거가 오히려 지역분열만 부추기고 있어 선거문화와 유권자 의식 개혁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이같은 선거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역구도가 아닌 인물과 정책 대안 중심의 선거가 치러질 수 있도록 법적ㆍ제도적 개선이 함께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