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운산 풍력발전소 수용여부가 민선7기 장충남 군정 초기의 최대현안으로 떠올랐다. 장충남 군수는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 궁금하다. 
풍력발전소 개발행위인허가 신청에 대한 가부를 결정하기 전에 이를 주민들에게 알리고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쳤으면 좋았을 것을 무슨 이유인지 인허가부서는 이런 절차를 거치지 않고 부관(조건부)을 달아 허가해준 것으로 확인됐다. 인허가에 부관으로 단 조건들을 개발업체가 모두 충족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행정적으로 허가한 행위자체를 되돌릴 수는 없게 된 마당이다.  
군이 부관으로 단 조건 중 ‘공사 착공 전 주민공청회를 통한 사업 설명 및 주민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조항에만 주민들이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열려있을 뿐 다른 조건들은 모두 개발업체의 능력에 맡겨진 것들이다.
이러한 사실이 공개된 이후 특히 남해읍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남해읍이장단과 남해산악회 등 주요단체들은 풍력발전소 반대행동에 나서기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지난 14일 오전 10시부터 남해읍사무소 2층 회의실에 모인 이장단을 중심으로 한 단체들은 ‘망운산 풍력발전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를 조직키로 하고 이를 성사시키기 위한 집행위원회를 꾸렸다. 남해읍 이장단은 벌써 마을별로 서명용지를 만들어 주민들의 서명을 받고 있다. 
이들이 주장하는 논리는 망운산 풍력발전소 개발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익이 아무리 크다고 하더라도 남해의 진산인 망운산을 훼손해서는 안 되며 주민들의 생존권 건강권 행복권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반대하는 주민들이 존재하는 한 주민의견수렴을 하나의 조건으로 허가한 행정행위는 실효성을 다툴 수밖에 없게 됐다.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이 사안의 전개방향은 ▲수용 ▲전면백지화 ▲제3의 대안 마련이라는 3가지 큰 틀 안에 있다. 물론 남해군행정이 조건부로 내세운 개별적 조건들에 대해 어느 한 가지라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실제 착공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지만 그것 또한 무한정 그럴 수는 없을 것이다. 개발업체가 스스로 지쳐 포기하지 않는 한 언젠가는 어느 한 가지 방향을 결정해야 하는데, 그것을 결정할 하나의 방법론으로 ‘숙의민주주의 방법’이 대두된다. 
숙의민주주의가 어떤 것인지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본지는 이번호 5면에 숙의민주주의에 관한 어느 한 독자의 글을 실었다. 이 글을 꼭 읽어주길 바란다. 우리 앞에는 망운산 풍력발전소 문제뿐만 아니라 창선 속금산 석산개발문제, 석탄가스화복합발전소(IGCC) 문제 등 경제적 이익과 환경권 사이의 상충성을 녹여내 합리적 대안을 모색해야 할 사안들이 줄줄이 놓여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해나가기 위해서는 이번 기회에 우리는 숙의민주주의에 대한 사회적 합의안을 만들어 둘 필요가 있다. 어차피 넘어야 할 갈등의 산이라면 우리는 숙의민주주의의 모범이 될 만한 실천사례를 만들어 전국에 전파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망운산 풍력발전소 수용여부가 가져온 반목과 갈등의 위기를 ‘지방자치1번지 남해’라는 명성을 되찾을 수 있는 기회로 만들면 어떨까? 5면에 실은 ‘숙의 민주주의에 대한 숙의가 필요하다’는 한 군민의 제안을 장충남 군정은 실현시킬 길이 있는지 진지하게 검토해 주길 바란다. 숙의민주주의로 이 갈등의 위기를 돌파해 나갈 수 있길 바란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