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에 “닭이 천이면 봉이 나오고 말이 천이면 용마가 나온다”는 말이 있다.
수가 많으면 인물이 생긴다는 뜻이다. 창선에 목장을 개설한 이래 임진왜란 때는 천 필이 넘는 말을 기르는 최성기였다. 그때 많은 말 속에서 한 말이 어찌나 성질이 사납고 날쌘지 아무에게도 타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이 소문이 진주에 주둔하고 있던 김덕령(金德齡 1567~1596)장군의 귀에까지 들어갔다.
김덕령 장군은 창선으로 건너와 상신 뒷산의 고동바위에서 용마를 잡아탔다.
신기하게도 용마는 하늘을 향해 한 번 포효한 후 힘차게 달리기 시작했다. 용마는 고동바위를 지나 상신마을로 달려왔다. 김덕령 장군이 타고 온 용마의 발자국이 고동바위에 남아 있고 상신 돌다리에도 같은 발자국이 남아 전해져 오다가 정사년(1917) 홍수에 유실 매몰되었다고 한다.
용마가 어찌나 날쌔고 영특한지 김장군은 이 용마를 타고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 그 뒤 장군이 무고로 옥에 갇힐 때마다 용마는 미리 알고 며칠 전부터 아무것도 먹지 않아 김 장군의 불행을 미리 알았고 한다.
이몽학의 모반에 연루되었다는 무고가 있자 장군을 바라보면서 눈물까지 흘리기에 장군은 화를 당할 것을 각오했고 끝내 풀려나지 못하고 고문으로 죽게 되었다. 용마도 마침내 굶어 죽었다 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