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환심을 사려고 아첨하는 교묘한 말과 보기 좋게 꾸민 얼굴’, ‘남에게 아첨하느라고 듣기 좋게 꾸미는 말과 얼굴 빛’, ‘교묘한 말과 부드러운 얼굴로 분란을 일으키는 소인배’를 일컫는 말이다.
중국 논어(論語)의 학이(學而)와 양화편(陽貨篇)에서 공자(孔子)가 한 말로, “말을 좋게 하고 얼굴빛을 곱게 하면서 어진사람은 적다”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공자는 ‘교언영색’하는 자는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남에게 아첨 아부하는 사람이 태반이므로 그들에게 인(仁)을 찾기란 어려운 일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자로편(子路篇)’에서는 ‘강직하고 의연하고 질박하여 어눌한 사람은 인(仁)에 가깝다’며 교언영색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두었다.
공자는 약삭빠를 정도로 말재주가 있는 사람은 그로 인해 복을 얻기보다는 오히려 미움을 받기 쉽다고 했다. 그 이유는 비위를 맞추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로 사람을 대하는 사람은 인간의 내면을 충실히 하는 일을 경시하고 있기 때문에 군자(君子)가 될 수 없다고 하면서 ‘자로’에게 단단한 당부와 주의를 주었다. 공자는 “나는 말을 잘한다고 해서 그 사람을 믿을 수 없다. 왜냐하면 진정으로 도(道)를 실천하려는 사람인지, 겉만 장식하고 있는 사람인지, 그 속내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며, 자신의 선(善)을 행하기 위해 남을 망치게 하는 일도 허다하다. 그럴듯한 논리를 교묘히 구사하는 혀를 갖고 있는 자를 마음으로부터 증오한다”고 했다.
공자는 또 “특히 말(言)은 다른 사람과 주고받는 대화이므로 말에는 믿음(信)이 있어야 한다. 믿음이란 언행(言行)이 일치하는 것으로, 신중히 말하고 말은 바로 실천하는 것이다”라고도 했다. 공자는 믿음이 없는 말, 즉 신뢰 없이 솜씨로만 꾸며진 말(巧言)과 속마음과 다른 겉모습(令色)을 아주 싫어했으며, 교묘한 말과 낯간지러운 표정으로 지나치게 공손하려는 가식은 이중성을 띠며 매우 부끄러운 일이라고 했다.
부끄러움(恥)의 반대쪽에 뻔뻔함이 있다. 이는 부끄러움을 느낄 수 없는 마음의 상태를 말하는데, 자신의 행동, 저지른 죄에 대한 무의식도 있지만, 자신이 속한 집단의 행동규칙에 함몰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사는 시대의 부끄러운 자화상이기도 하다.
공자는 겉 다르고 속 다른 삶을 살지 말 것과, 부끄러운 짓을 하지 말아야 하며, 곧음(直)으로 마음을 세우는 일을 실천하라고 했다. 공자 스스로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았으나, 천하에 횡횡한 교언영색을 부끄러이 여겼다고 한다.
공자의 이같은 가르침이 우리 주변 조직에서나 단체생활에서 교활한 자태로 아부 아첨하는 사람, 약자에게는 갑질을 일삼는 이율배반적인 후안무치(남해신문 2016년 3월 4일자 본 코너 소개)한 사람에게 자성의 계기를 선사하는 가르침이길 바라본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