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공손추’(公孫丑) 상편(上編)에 나오는 이야기로 하늘과 땅 사이에 넘치게 가득 찬 넓고 큰 원기(元氣), 사람의 마음에 가득 차 있는 크고 넓은 올바른 기운을 뜻한다.
한날 맹자의 제자인 공손추가 스승에게 묻기를 “선생님이 제(齊)나라의 경상(卿相=벼슬)에 오르셔서 도를 펼칠 수 있게 된다면 이로 말미암아 제나라 임금을 패왕(覇王)이 되게 하시더러도 이상할 게 없을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마음이 동요하지 않으시겠습니까?”라고 했다.
이에 맹자는 “아니다. 내 나이 사십이 되어서부터 마음이 동요하지 않게 되었다”고 답하자 공손추는 “그러시다면 선생님은 맹분(孟賁)보다 훨씬 더 뛰어나십니다”라고 이야기 했다. 그러자 맹자는 “진정한 용기는 부동심(不動心), 즉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것”이라고 답했다. 부동심을 실천한 맹자의 처세론(處世論)이 잘 증명해주고 있다. 부동심과 호연지기란 비도덕적인 것을 배척하고 도의(道義)를 실현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손추는 거듭 “선생님은 어떤 점에서 특히 뛰어나다고 생각하십니까?” 라고 묻자 맹자는 “나는 나의 호연지기를 잘 기르고 있다”고 대답했고 공손추는 호연지기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다시 묻자 맹자는 “말로 표현하기는 힘드나 그 기운됨이 지극히 크고 강해서 그것을 올바르게 길러 하늘과 땅 위에 꽉 차게 된다”고 말했다. 여기서 지극히 크고 강한 '호연(浩然)'은 넓고 큰 모습을 형용하는 의태어(擬態語)로서 중국 철학자 풍우란(馮友蘭)은 호연을 물이 세차게 흐르는 모양을 표현해 가슴 속에서 세찬 물결이 흘러 세상 속에 펼쳐지는 그림이 그려진다고 했고, 호연지기는 크고 넓게 즉, 왕성하게 뻗친 기운이란 의미라고 해석했다. 반대로 흔들리지 않는 굳센 마음을 얻는데 호연지기를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즉 호연지기는 매우 크고 몹시 강하기 때문에 곧게 길러야 한다고 하며 올바름을 지키고 있다는 내면(內面)의 떳떳함에서 나오는 용기라고 한다. 떳떳함은 내 마음이 속삭이는 올바름(의, 義)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얻을 수 있고, 양심에 따라 살아갈 때 당당함이 묻어 나오는 것이다.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부끄러움이 없는 도덕적 용기를 길러야 하며, 정의와 인도(人道)로서 모두가 큰마음, 큰 뜻을 가지고 떳떳하게 어떠한 일에도 굴하지 않고 맞설 수 있는 당당한 기상(氣像)을 가져야 한다는 교훈으로 새겨들어야 대목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