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11일 사상 최초로 전국 1326개 농·축협과 산림조합, 수협의 조합장 선거가 치러진다. 군내에도 총 7개 조합에 23명의 후보가 유권자인 조합원들의 표심잡기에 총력을 기울이며 선거전이 가열되고 있기는 하지만 동네 잔치였던 조합장선거가 전국민적인 관심사로 주목을 받게 됐다는 상징적 의미 외에는 공직선거에 비해 과도하게 제한된 선거운동방식으로 인해 기대만큼의 흥행이나 관심을 끌고 있지 못한 듯 하다.
특히 우리 남해는 1차산업의 비중이 68%에 달할 정도로 높고 이 1차산업 종사자들은 이미 군내 농·축협, 산림조합, 수협 등 협동조합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번 동시조합장선거가 농어촌 지역에서는 ‘제2의 지방선거’라고 불리는 것이 지나치지 않다고 느껴지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공직선거에서 허용하고 있는 후보자 합동토론도 없이 그간 조합 자체 선거에서도 시행돼 왔던 후보 합동유세 한 번 없이 유권자들이 자신이 속한 조합의 후보를 선거공보와 벽보, 개별 접촉 등의 제한된 방법으로만 꼼꼼히 따져보고 검증하고 선택해야 한다.
현행법의 틀에 갖혀 이번 선거에서는 어쩔 도리 없이 ‘깜깜이 선거’를 해야 하지만 이럴 때 일수록 조합원들의 눈은 예리하고 냉철해야 한다.
이미 많은 농어업인과 임업인들이 지적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당초 협동조합의 설립 취지를 상실하고 스스로 비대해져버린 지역의 또다른 권력, 각 협동조합을 다시 조합원의 것으로 회귀시킬 수 있는 바른 후보, 이미 사실상의 농어촌지역 유통구조를 독식하다시피 하는 조합의 성격상 조합 자체의 소득이 아닌 농어업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얼마나 전문적인 경영능력을 갖췄는가와 가치관을 지녔는지가 인연과 학연, 지연에 우선해야 한다.
오는 3.11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지역 축제의 장이 되려면 우선 유권자인 조합원의 적극적인 참여가 우선돼야 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