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나 식견이 좁은 사람, 세상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말함
井 : 우물 정,  中 : 가운데 중, 之 : 갈 지, 蛙 : 개구리 와

중국 후한(後漢)시대 장자(莊子)의 추수편(秋水篇)을 소개하면 문답형식으로 도(道)를 설명하는데 황하강(黃河江)의 신(神) ‘하백’과 대해(大海)의 신(神) ‘약(若)’이 등장 한다.
도(道)는 장단고저(長短高低, 길고 짧고, 높고 낮음) 또는 대소귀천(大小貴賤, 크고 작고, 귀하고 천한 것)은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은 어떠한 구별 없이 도(道)에 따라야 한다는 것을 설파하면서 대화형식의 문장이 이어지는데 중국은 큰 대륙을 가로 지르는 황하라고 하는 큰 강이 흐르고 있다. 그런데 이 황하강을 지키는 '하백'이라는 신이 살고 있었는데 그는 “이 세상에 이렇게 넓고 큰 강은 없을 것이다”라고 하며 황하를 지키는 자신을 아주 뿌듯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갑작스런 의문에 빠졌다. ‘도대체 이 큰 강이 계속 흐르다 멈추는 곳이 어디쯤 일까?’. 하백은 강을 따라서 여행을 하기로 결심하고 흐르는 물길을 따라 가던 끝에 이윽고 바다에 이르렀다. “세상에! 이렇게 넓은 곳이 있다니!”. 바다를 처음 본 하백은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때 마침 지나가던 바다를 지키는 신(神) ‘약(若)‘이 '하백'에게 묻는다.
“뉘신지요? 나는 이 바다를 지키는 '약'이라고 합니다만.”
“네, 저는 황화강을 지키는 '하백'이라고 합니다. 정말 바다라는 것이 참으로 넓군요”
“아니, 그걸 이제야 아셨습니까?”
“나는 지금까지 이 세상에서 황하가 가장 넓은 줄만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바다를 보니 제 생각이 틀렸다는 걸 이제야 깨달았습니다.”
그러자 '약'은 이렇게 말했다.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는 바다에 대해 말할 수 없지요. 그건 그들이 좁은 곳에서만 살아 왔기 때문입니다. 또 여름 한철 살아가는 풀벌레에게는 눈(雪)과 얼음 애기를 들려 줄 순 없는 것은 여름밖에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며 한쪽 밖에 모르는 사람과 도(道)에 대해 말할 수 없는 것은 자기가 배운 속박이기 때문입니다.” 하백은 “네, 지당하신 말씀입니다”라며 고개를 끄덕이자 '약'은 이어서 말하기를 “마찬가지로 학문과 식견이 부족한 사람과는 진리를 논할 수 없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편견에 지나치게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하백 당신은 황하보다 큰 바다를 보고 자신의 부족함을 깨달으니 나와 진리를 이야기할 만합니다”라고 말했다.
장자(莊子)는 좁은 세상 속 ‘우물 안의 개구리’처럼 되지 않으려면 두루 견문을 넓히고 깊은 생각도 할 줄 알아야 한다고 전한다.
산(山) 정상까지 올라가서 산과 주변을 판단하여 말하는 사람, 정상에 올라 가보지도 않고 올라가 보았는지도 모르는 남의 말만 믿고 판단하는 사람, 중간이라도 올라 가본 사람이 정상까지 올라가면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진다는 점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사람이 정중지와(井中之蛙)에서 벗어날 것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