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도 사욕이 없이 아주 공평하고 지극히 바르다는 뜻」
大 : 큰 대,  公 : 공변될 공,  無 : 없을 무,  私 : 사사로울 사

춘추시대 진평공이 한번은 기황양에게 이렇게 물었다. “남양현에 현재 현장자리가 비어 있는데 누구를 천거하면 가장 합당하겠는가?” 기황양은 조금도 서슴없이 “해호를 시키면 가장 적임자입니다. 그는 반드시 임무를 감당하고 잘 해 낼 것입니다.”라고 답했다. 평공이 매우 놀라는 기색을 하면서 다시 물었다. “해호는 그대의 원수가 아닌가? 그런데 왜 그를 천거하는가?”라고 묻자 기황양이 말했다. “대왕께서는 누가 그 일을 잘 감당할 수 있으며 누가 가장 적당한 인물이냐고 물으셨지 해호가 신과 원수냐고 물으신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평공은 조금의 주저함도 없이 해호를 남양현 현장으로 임명하였고 해호는 부임한 후 고을 사람들을 위해 많은 업적과 유익한 일을 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얼마가 지난 후 평공은 다시 기황양을 불러 “현재 조정에 법관이 한사람 필요한데 그대가 보건데 누가 이 직책을 잘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라고 묻자 기황양은 대뜸 “기오가 그 직책을 잘 감당해 낼 겁니다”라고 하였다. 평공이 또 이상히 여겨 물었다. “기오은 그대의 아들이 아닌가? 그대의 아들을 추천하여 남의 군소리를 들을까 두렵지도 않은가?”라고 말하자 이에 기황양은 여전히 태연한 어조로 “누가 그 직책을 잘 수행해 낼 수 있겠느냐고 물으시기에 저의 아들을 추천한 것이지 저의 아들이 아니냐고 물으시질 않았습니다”라고 답했다.
평공은 역시 기황양이 천거한 대로 기오를 법관으로 임명하였더니 양심과 원칙적으로 공명정대하게 법관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하여 백성들로부터 호평을 받게 되었다. 기황양은 재능을 아끼고 인재를 천거했을 뿐 추호도 원수라고 편견을 두거나 인재를 말살하지 않았고 남의 빈축이 두려워 아들을 추천 안 한 것도 아니니 그야말로 대공무사한 사람이라고 말 할 수 있으며 사리사욕이 조금도 없이 아주 공평하고 바르다는 뜻을 담고 있는 사자성어이다. 하지만 과연 우리사회의 법이란 대공무사한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법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며 바르게 적용돼야 하지만 우리사회에서는 돈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마냥 가볍기만 하고 돈이 없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무겁기 때문으로 흔히 회자되고 있는 '유전무죄 무전유죄'가 아닌가.
이는 공정하지 못한 것이지만 참 바꿔지지 않아 가슴이 몹시 답답하다. 뇌물 먹고 적당한 형을 마치면 활개치고 다니는 세상이 정의로운 사회라고 할 수 있을까? 법 모르고 사는 사람도 많지만 대공무사가 빨리 뿌리 내렸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을 가져본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