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부단한 노력과 끈기와 인내로 일하면 기필코 성공한다는 뜻」
〔磨 : 갈 마,  斧 : 도끼 부,  爲 : 할(만들) 위,  針 : 바늘 침〕

하기 힘든 일도 끊임없이 노력하다 보면 언젠가는 이루어지고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말과 의미가 비슷하다. 그리고 말과 소의 새끼는 시골로 보내고 사람은 자식을 서울로 보내라. 말과 소는 먹이가 풍부한 시골로 보내고 사람은 견문을 넓히기 위해 배울 것이 많은 도회지로 보내야 잘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중국 최대의 시인 당나라 이백(李白)의 일화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백이 어렸을 때 훌륭한 스승을 찾아 깊은 산에 들어가 수학(修學)을 했는데 어느 날 공부에 싫증을 느껴 방황하던 때 스승에게 허락도 없이 하산(下山)하고 말았다.
집을 향해 걷고 있던 이백이 계곡물이 흐르는 냇가에 이르자 한 노파가 열심히 도끼를 갈고 있었다. 이백은 “할머니 지금 뭘 하고 계십니까?”하고 물으니 “바늘을 만들려고 도끼를 갈고 있단다”라고 할머니는 대답했다. 이백은 어이가 없어 실소를 자아내며 “그렇게 큰 도끼가 간다고 바늘이 될까요?”라고 되묻자 노파는 “그럼 되고 말고. 중도에 그만 두지만 않는다면…”이라고 답했고, 이백은 할머니의 이 말을 듣고 느낀 바가 있어 생각을 바꿔 공손히 노파에게 인사를 드린 후 다시 산으로 올라가 학문에 정진하였고 공부를 하면서 마음이 해이해 질 때마다 열심히 도끼를 갈고 있던 노파의 모습을 떠올리며 분발하였다 하며 여기에서 나온 고사성어가 마부위침이다.
한 발짝 한 발짝이 모여 산꼭대기에 이르는 그 한 걸음의 힘을 믿으며, 천천히 그리고 꾸준하게 가는 사람이 경주에서 이긴다,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처럼…. 자신의 목표와 가치, 신념이 옳다면 아무리 힘든 일이라도 꾸준히 끈기로 노력한다면 목표가 이루질 것이며 남이 보기에는 어리석은 것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목표를 세워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마부위침은 우리속담에 “우물을 파도 한우물을 파라”, “지성이면 감천이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빨리 빨리, 속도전, 능률성, 눈앞의 이익추구, 요행 등을 중요시 하지만 또 한편으론 삶의 속도를 늦추는, 자연과 조화로 정신적인 풍요를 얻을 수 있는 느림의 미학을 중시하는 슬로우시티 등도 부각되고 있지 않은가?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