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초음파검사를 받고 있는
화전한우 모습.
 
  

최근 남해화전한우가 농림부의‘쇠고기 이력 추적시스템 시범사업’에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지만 이 사업에 지원되는 정부예산이 귀표 구입비에 한정돼 있어 남해군 등 관계기관의 관심과 지원이 시급한 실정이다.

농림부는 소사육단계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국산 쇠고기의 대외경제력을 높이기 위한 쇠고기 이력 추적시스템을 오는 10월 본격 도입키로 하고 남해화전한우를 비롯한 9개 우수 한우브랜드를 선정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또 농림부는 지난 11일 ‘쇠고기 이력 추적시스템 선정 대표자 회의’를 갖고 이번 시범사업에 선정된 한우 브랜드경영체에 귀표 구입비만 정부예산으로 지원하고 나머지 부착비용과 전산입력 수수료, 인건비 등의 관리비는 브랜드경영체가 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달중 축산국장은 이날 “쇠고기 이력추적 시스템은 소의 생산, 도축,가공,유통 과정의 단계별 정보를 기록 관리하고 이를 소비자가‘소비자용 정보검색 단말기’를 통해 정육의 품종·등급·도축검사결과 등의 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시범사업에 필요한 비용은 정부와 각 사업장, 브랜드경영체가 공동으로 분담한다”고 말했다.

이날 농림부는 지정사업장은 시범사업에 필요한 장비를 비치해야 한다면서 정부가 귀표 구입비만 지원하고 귀표 부착비용과 전산입력 수수료, 인건비는 브랜드경영체(축협 또는 법인)가 자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도축장의 경우에는 바코드리드기나 라벨프린트기에 대해서만 정부가 지원하고 컴퓨터는 자부담해야 하며 가공장의 경우에는 라벨프린트기를 정부가 지원하지만 컴퓨터는 자부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지정 판매장은 라벨프린트기와 소비자용 정보검색 단말기를 자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번 시범사업에 선정된 타 지역 한우브랜드의 경영체는 대부분 지자체나 축협이지만 남해화전한우의 브랜드경영체는 양축농가의 모임인‘한우회’여서 이 사업에 따른 관리비와 인건비를 ‘한우회’가 부담하며 체계적인 전산망을 자체 운영하기란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됐다.

또한 남해축협도 현재 관리조합이라는 어려운 실정이어서 앞으로 남해군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라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선정업체들은 오는 10월까지 귀표부착과 전산입력 작업에 착수해야 하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 관계기관과 협력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선정업체가 축협이 아닌 ‘한우회’의 경우에는 전산입력을 위한 프로그램이 없고 이번 사업을 전담할 전문인력이 전무한 상태여서 남해축협과 군의 지원이 절실하다.

임희열 한우회 회장은 “이번 사업은 쇠고기에 대한 모든 정보를 매장에서 소비자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고품질 고급육인 명품 화전한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라고 평가하고 “하지만 양축농가가 자료를 수집해 전산화하거나 관리를 하기에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어서 남해축협이 중추적인 역할 담당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해축협 축산 담당은 “군내 한우에 대한 자료를 전산화하는 기본 프로그램이 이미 갖춰져 있고 이후 체계적인 화전한우 관리를 위해 축협이 중심적으로 나설 것이지만 현재 관리조합 신분인 축협의 어려운 여건상 이번 사업을 담당할 전담요원에 대한 비용 문제는 남해군과 충분히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우회를 비롯한 양축농가들은 쇠고기 이력 추적시스템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남해화전한우의 우수성을 체계적인 자료로 통해 소비자에게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새로운 도약을 위해 양축농가와 축협 그리고 남해군의 구조적인 역할모델이 제시될 시기라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