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구제역 ‘위기’ 경보를 ‘주의’로 하향 조정하면서 전국 지자체마다 여기저기서 송아지경매시장 및 우시장 개장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활기를 뛰어야 할 경매시장에서는 양축가들마다 국제곡물가격 인상으로 사료값은 전에 비해 10%가량 올랐지만 구제역 발생 이전보다 소값은 대폭 하락했다는 탄식을 쏟아 내고 있다.
최근 앞다퉈 개장된 전국 우시장마다 "오랜만에 우시장이 개장한 것은 다행이지만 소값 시세가 이렇게 없으니 앞으로 축산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축협마다 출하 두수는 늘었지만 시세는 구제역 발생 전에 비해 송아지가격이 두당 30만~50만원 정도 떨어진 수준에서 거래된 것으로 추산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지난 27일 재개장된  ‘남해축협 송아지 경매시장’에서도 이같은 현상은 여실히 나타났다.
이날 송아지 경매시장 출하두수는 총292두로 수송아지 평균가는 189만원이었고, 암송아지 평균가는 222만원이었다. 작년 이맘때와 대비해 보면 수송아지는 100만원 가량 떨어졌고, 암송아지는 약 30만원 하락했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축산전문가들은 세계 곡물가격상승에 따른 사료값 인상에다 육류 소비 둔화, 출하량 증가, 불확실한 소값에 따른 관망세 등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여기에다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올해는 소값 및 송아지값이 전체적으로는 ‘하향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하는 한편 구제역 대란 이후 올부터는 축산업 구조조정 사태까지 예견된다는 조심스런 분석까지 내놓고 있다.
구제역 이후에도 전국 사육규모는 320만두에 육박하고 있고 향후 국제곡물가격 상승세는 당분가 지속될 것이라 점이 이같은 분석의 가장 큰 이유다.
일부 양축가들도 이같은 분석에 기초해 앞으로는 ‘축산을 유지할 자본이 없으면 소를 키울 수 없을 것’이라는 말로 향후 불투명한 축산업을 예견하고 있다.      
쉽게 말해 전국적으로 축산규모는 포화상태를 이미 넘어선 데다 사료값 인상 요인만 발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시장의 전망을 분석하는 분석 기법을 도입해도 올해 소값은 그다지 밝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소값이 희망적일 때는 통상 수송아지값이 상승세를 타는 데 지난해는 전국 축산 규모가 300만두를 넘어선 상황에서도 그럭저럭 수송아지가 호조세를 유지했었다.
지난해 군내 송아지경매시장만 보더라도 구제역 발생직전인 6∼10월까지 수송아지 값은 하향세를 보이면서도 암송아지값보다 다소 높은 흐름을 유지했다.
그러나 구제역 이후 첫 장인 27일에는 암송아지값이 수송아지값보다 높은 역전세를 보인 것이다.
구제역 직전인 작년 11월 27일 수송아지가격은 평균 218만원, 암송아지가격은 187만으로 수송아지가격이 31만원 가격이 높았지만 올 4월 구제역 이후 첫 경매에서는 암송아지가격이 평균 33만원 높은 역전세를 기록한 것이다.
이같은 분석은 축산업계서는 통상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에서 올해 축산업이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분석을 기우로 받아들일 수는 없는 일이다.
이런 의미에서 남해군 축산정책은 더욱 면밀하게 준비될 필요성이 있다.
군내 축산전문가들도 향후 전국 축산업에 대한 구조조정은 이미 예견된 일이었고 올해는 그런 흐름으로 갈 확률이 상당히 높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또한 축산업 구조조정이 현실적으로 표면화되는 시기는 장담할 수 없지만 어쨌든 지금부터라도 남해축산업은 이 문제에 대해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해 나가야 할 시점이라는 데는 공감한다는 반응이다.
이들은 남해축산업의 향후 방향과 관련 종자개량 사업을 더욱 철저히 하고 친환경축산에 진입하기 위한 준비작업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축산업 면허제 준비 등 정책적 흐름을 분석하면 향후 정부정책은 방역 및 환경을 강화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분석되고 이에 따른 제재나 인센티브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이유로 양축농가들도 전국축산업의 흐름과 정부 정책의 방향에 촉각을 기울여 나름의 축산 전략을 수립하고 나아가 남해축산업의 방향 설정에 대해 다함께 고민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