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가 가장 즐거워야 할 가을 벼 수확기다.
그러나 수확기 들판에는 갈수록 떨어지는 쌀값에 농가의 한숨만이 가득하다.
현장에서 들리는 한숨소리는 매년 반복되어온 이야기며, 작년에 비해 별반 나아진 게 없다.
‘공공비축미로 신청해봐야 배정 물량도 적게 나올 것이 뻔한 데다 매년 30만톤 빠졌던 대북지원도 올해는 5000톤 수준이라 가지고 있어도 손해만 볼 것이다’‘제발 농협RPC가 있는 시군만큼만 값을 받았으면 좋겠다’‘이제는 나이가 들어 벼를 말리고, 넣고, 꺼내기도 힘들어 그냥 받아 주는 곳만 있으면 산물벼로 팔고 내년에는…’‘우리한테는 팔 수 있는 업체 선택권이 없다, 그나마 받아 주는 곳이라도 있으면 다행이다’
올해 우리군은 공공비축용 산물벼는 한 가마도 배정 받지 못했다.
그나마 배정받은 공공비축미 포대벼 물량도 전년도 당초 물량(6만3850가마)보다 12.7%가 줄어든 총 5만5760가마(조곡 40kg)다. 남해군에 내려오는 정부 공공비축용 배정량은 매년 일정 수준으로 줄어들고 있다. 정부도 공공비축미를 없애고 앞으로는 공공RPC 및 민간영역에 양정을 맡길 계획이다. 제대로 된 브랜드 하나 없이 인근지역 쌀과 섞여 나가거나 군내 소비정도에 머물고 있는 지역쌀의 현실을 감안하면 답답한 노릇이다.
그렇다고 벼농사를 대신할 작목을 찾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마냥 앉아서 언제까지나 정부의 선처만을 기다릴 수는 없다.
이런 의미에서 지금부터라도 지역쌀에 대한 냉정한 판단과 장기적인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지역쌀의 미질’ ‘전면 친환경쌀 생산시 경쟁력’ ‘전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여부’ ‘시장진출을 위한 물량 및 제반 여건’ 등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 있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벼농사의 최종 목표와 한계를 설정하고 대안을 찾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정부나 지자체의 보호 및 지원 없이 소비자가 시장에서 남해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대책과 장기적인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