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사한 입질도 어김없이 잡는다!


사계중 특히 겨울철 감성돔낚시 채비라면 무거운 수중찌나 구멍봉돌을 달아 빨리 가라앉혀 바닥층을 긁어주는 게 가장 효과적인 공략법으로 알고 있는 꾼들이 많다.
하지만 최근들어 감성돔낚시에 제로찌 등 저부력찌를 사용해 효과를 보고 있는 꾼들이 많이 늘고 있다.가장 좋은 채비는 가장 자연스런 채비일 것이다. 물고기가 미끼를 삼켜도 아무런 느낌을 받지 않는 상태가 가장 자연스런 채비일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꾼들이 되도록 가벼운 부력의 찌를 사용하려고 한다. 부력이 낮으면 낮을수록 그만큼 입질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심이나 바람. 파도, 조류의 빠르기 등으로 항상 가벼운 채비만을 고집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현장에 맞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채비가 되는 것이다.제로찌는 처음 일본에서 개발될 때 벵에돔용으로 개발되었다.


깊은 수심층을 노리는 게 아니라 띄울 낚시에 주로 이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 밑채비에 원줄과 목줄을 직결하고 미끼 외에는 아무것도 달지 않으므로 깊은 수심층을 공략하기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류가 너무 빨라도 미끼가 떠버리므로 바닥층을 공략하기가 어렵다.


감성돔 낚시에의 응용


제로찌를 접목하기 위해서는 수심과 조류의 빠르기가 적당해야 한다. 5~8m 이내의 수심과 빠르지 않은 조류지대라야 가능하다.실전에서 제로찌를 사용해보면 그 진가를 알 수 있다. 2B~3B 저부력찌에도 깜박거리기만 하던 것이 제로찌를 사용할 경우 50cm 정도 시원스럽게 잠긴다. 제로찌 채비는 수중찌나 봉돌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래를 사용하는 ?대신 원줄과 목줄을 직결하여 아주 약한 조류 속에서도 자연스러운 미끼연출을 할 수 있다. ?그만큼 감성돔이 입질을 할 때 이물감을 느기지 못하기 때문에 의심없이 미끼를 깊이 삼키는 것이다.잡어층도 유유히 통과한다일반꾼들이 생각할 때 잡어가 많으면 되도록 빨리 미끼를 내려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처음 제로찌를 가지고 감성돔낚시를 한다고 했을 때 주위의 꾼들은 그렇게 가벼운 채비로 어떻게 잡어층을 통과할 수 있겠느냐고 의문을 품는 꾼들이 많았다. 하지만 현장에서 낚시를 해본 결과 수중찌나 봉돌을 단 채비보다 잡어층을 더 자연스럽게 뚫고 내려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단, 채비를 던지기 전 밑밥을 2~3주걱 품질하는 게 필요하다.잡어는 빨리 움직이는 미끼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기 마련이다. 채비가 무거우면 밑밥보다 빨리 가라앉으므로 잡어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더 좋아 지는 것이다.


제로찌채비는 ?


미끼의 무게만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밑밥과 같은 속도로 내려가므로 바닥까지 내려갈 확률이 80~90%는 된다. 제로찌 기본채비대부분 여치기 포인트는 4~8m 정도로 전체적으로 고른 편이라 반유동채비가 적당하다.


목줄 4m를 원줄과 직결해 사용한다. 찌매듭을 직결위 1~2m지점에 묶고 제로찌를 채우고 직결위 20~30cm 지점에 찌멈춤고무를 끼우면 된다. 찌에 저항감을 줄이고 밑채비를 빨리 내리기 위해서 원줄은 2~2.5호가 적당하다.


바늘은 감성돔용 1~2호의 비교적 작은 것이 효과적이다.상황에 맞춘 기본 테크닉찌매듭은 1.5호 정도의 목줄을 사용하여 만든다. 면사매듭 대신 목줄로 지매듭을 묶고 매듭 자투리 아래부분을 3mm 정도 남기고 자른다.


면사와 달리 빳빳한 목줄이므로 찌멈춤 구슬이 없어도 매듭 끝부분이 찌구멍에 걸려 반유동채비가 되는 것이다.채비를 흘리다 입질이 없거나 조류의 흐름이 빨라 밑채비가 뜬다는 느낌이 들면 원줄조작을 통해 전유동채비로 전환이 가능하다.


채비를 10~20m 정도 흘리다 낚싯대를 위로 두세번 살짝 쳐주면 전유동 채비가 되며 미끼가 더 아래로 내려가면서 감성돔의 입질을 유도할 수 있는 수심층까지 내릴 수 있다.뒷줄 여유있게 줘야 자연스런 채비제로찌채비를 흘릴 때는 뒷줄을 여유있게 풀어줘야 채비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보통의 릴 찌낚시의 경우는 채비를 흘릴때 뒷줄 견제가 필수적인 테크닉으로 강조된다. 하지만 남해권 감성돔낚시에서는 뒷줄견제가 필수는 아니다. 여유줄이 없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있는 것이 자연스런 채비다.


원줄이 팽팽해지면 채비가 가라앉지 않고 위로 뜨는 현상이 생긴다. 미끼가 바닥층을 자연스럽게 탐색할 수 있도록 여유줄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채비가 흐르면 흐르는 속도에 비례해 뒷줄을 조금씩 계속 풀어주는 수고가 필요하다. 뒷줄주기를 게을리하면 여유줄이 팽팽해지며 뒷줄견제가 되고 채비는 뜨게 마련이다. <다음호에 계속>

/엄상언 편집국장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