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농어촌 환경으로 인해 여성들이 농어촌 총각과의 결혼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최근 베트남이나 필리핀 등 국제결혼을 통한 외국인 이주여성들이 속속 들어오고 있다.

군 사회복지과에서 집계한 군내 실제 거주 외국인 이주여성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8월 90여명이었던 이주여성들이 3월 초 현재 124명으로 나타났으며, 갈수록 그 수는 늘어날 전망이다.

이런 사회적 현상에 대비하여 남해군을 비롯한 사회문화 단체들이 외국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 이해와 사회적응에 필요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하지만 정작 이들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전담 기구가 없다보니 군이나 단체는 자신들의 사업 자체로만 기억할 뿐, 군의 외국인 이주여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나 지원대책은 아주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행정이나 단체에서 추진하는 사업들도 한정된 대상자들이다 보니 교육 내용과 일정이 중복되는 사업도 더러 있고, 예산과 추진실적 등 주최측의 입장만이 부각되어 교육 수요자인 이주여성을 배려하지 못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지난 26일 기자가 이주여성 관련 내용을 취재하기 위해 군청에 전화를 걸었지만 사회복지과, 기획감사실, 민원실, 남해발전기획단, 농업기술센터, 행정과 등으로 전화만 돌려줄 뿐 명쾌하게 답변을 들려주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

단지 각 과는 해당되는 업무 정도만 파악하고 있을 뿐 전반적으로 이주여성들에 대한 내용을 아는 곳은 없었으며, 공무원들조차 ‘이주여성을 담당하는 과가 따로 없어 잘 모르겠다’는 답변뿐이었다.

이처럼 사회변화에 발맞추어 남해군에서도 외국인 이주여성을 위한 전담 기구나 군에서 이들을 총괄 전담할 담당이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남해군이 사활을 걸고 있는 인구늘리기 시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주여성은 국제결혼 후 국적을 취득하고 남해군민으로 등재되기 위해선 최소한 2년이라는 소요기간이 걸리지만 이곳에서 정착하게 되면 머지 않아 남해군민으로 남게 된다. 또 그들의 자녀 출산도 곧 인구증가의 열매가 되기 때문에 더더욱 그들을 관리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그들이 우리말과 글을 익히고 한국의 여러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일과 그들이 예비 군민으로서 남해군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복지, 의료, 교육, 문화 등 각종 복지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배려하고 지원하는 일은 우리 모두의 몫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주여성과 그들의 자녀까지도 전담하여 관리하고 체계적인 지원 대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전담 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