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기자재공장 유치와 관련해 금천마을 주민들이나 공장관계자 그리고 군의 입장은 모두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그러나 서로간 대화나 의견 교환 없이 서로의 입장만 내세우고 있다는 여론도 있다.

먼저 금천마을은 현 시점에서 마을을 대표하는 대표자를 다시 선출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있다.
즉, 현 마을 이장이나 반대추진위원장을 제외한 인물 중 마을을 대표해 마을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이 일선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동우해양조선 측에서는 주민들에 대한 사과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즉, 주민들 몰래 공장설립을 위해 부지를 매입 하게 된 경위와 사전 사업설명회부터 하지 않은 것에 대해 이해하고 납득할만한 사과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 후 냉정하게 ‘조선기자재공장유캄에 대해 면밀히 따져야 할 것이다.
금천마을 주민들 생각처럼 공해업체인지, 그리고 마을에 얼마만큼의 피해를 줄 것인지 등을 면밀히 따져야 할 것이다.

취재 중 들리는 말들이 많다. 그 중 보상과 관련된 소문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정작 마을에 들러 개인적으로 만나보면 유치를 해야한다는 주민들이 더 많다. 하지만 두사람 이상만 모이면 무조건 반대한다는 의견이다.

그리고 ‘얼마를 주면 찬성하겠다’ 또는 ‘계약한 땅값이 적어서 잔금을 받을 수 없다’는 등의 좋지 않은 말들만 소문에 소문으로 들려오는 실정이다.

또 공장이 들어설 부지중 매입되지 않은 땅을 마을 일부에서 매입해 ‘알박기’를 하겠다는 말들도 들려온다.
금천마을에서는 이런 오해나 소문을 일으킬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마음을 열고 군이나 업체의 말들을 들어 본 후 마을의 입장을 표명해도 늦지 않다는 지적이다.

오해를 받지 않기 위해 금천마을 주민들도 마음의 문을 조금이라도 열어야 한다.
금천마을 주민들이 당사자로서 다른 삼동면민이나 군민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부분들도 많다는 것도 이해한다.

지역 이기주의가 아닌 대(大)를 위해 마음의 문을 열고 방법을 찾아야 할 때다.
그리고 업체나 군에서도 마을주민들의 이해를 돕는 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많다.

이제라도 마을주민뿐만 아니라 군민들에게 직접 공장 견학 등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주민들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정확히 파악해 무조건 유치 찬성이 아니라 지역정서에 맞는 중재안으로 기업을 유치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