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지난 17일 남해유배문학관에서 ‘남해군 동대만 람사르 습지 지정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남해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지난 17일 남해유배문학관에서 ‘남해군 동대만 람사르 습지 지정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내 최대 잘피의 군락지로 회자되는 남해군 동대만을 ‘람사르 습지’로 지정하기 위한 가능성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개최돼 관심을 끌고 있다. 

남해지속가능발전협의회(회장 조세윤)는 지난주 ‘에너지 자립섬, 남해’를 주제로 한 토론회에 이어 지난 17일 남해유배문학관에서 ‘남해군 동대만 람사르 습지 지정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류경완 경남도의회 의원과 임태식 군의원, 박종길 군의원, 정현옥 군의원, 이창열 군청 환경물관리단 환경정책팀장 등 내빈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는 조세윤 남해지속가능발전협의회장을 좌장으로 하고 박종길 군의원, 곽충남 냉천마을 전 어촌계장, 김은주 남해군생태관광협의회 사무국장, 서승오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장, 백충열 경상남도 람사르환경재단 과장, 김인철 사)전남동부지역사회연구소 박사가 패널로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주민들이 습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과제”

첫 발제에서 서승오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장은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면 무조건 ‘보존’만을 생각하는데 실은 지정된 습지의 ‘현명한 이용’도 주요한 과제로 인식한다”라며 “습지 구역 내 주민들이 생업을 못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주민들이 현명하게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에 더해 서승오 센터장은 “생태 파괴의 주체도 인간이고 보존의 주체도 인간이므로 람사르 협약의 기초는 생태관광과 문화, 건강, 습지 교육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며 순천만의 경우 습지 지정 후 현명하게 활용돼 관광객이 많이 증가했다고 보충 설명했다. 

서 센터장은 이 외에도 캄보디아와 싱가포르, 태국, 인도 등지의 주민들의 습지를 활용해 관광과 경제, 생태교육 등 여러 측면에서 도약하고 있는 사례도 제시됐다. 

발제 후 진행된 토론에서 김은주 남해군생태관광협의회 사무국장은 습지 보존의 생태적 가치를 긍정적으로 보는 관점에서 “앞으로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 중요한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며 “지역에서부터 특산물 소비 등 지속가능한 개발과 생태관광이 어우러져 자연 보존과 사람들의 생태친화적인 문화가 만들어져야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동대만의 어업으로 생계를 잇는 어민들을 대표해서 곽충남 패널은 “동대만을 습지라고만 생각하는데 동대만은 인근 10개 마을, 2000여 명이 어업으로 생계를 잇고 있는 터전이다”라며 “습지로 지정되면 어민들이 생계뿐 아니라 작은 건축행위도 어려워지는 규제와 제한이 있을 것이다. 관련 어민들과의 충분한 설명과 논의, 어민 생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패널로 나온 박종길 의원도 “동대만 관련 지역민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습지 지정에 따라 예상되는 장단점과 허용·규제 내용들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제기했다. 

이외에도 참여 패널들과 참석 주민들은 동대만 습지 지정에 따른 가치와 영향 등에 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