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정 일남해항일운동사 집필위원중앙대학교 4.19혁명기념사업회장
김 정 일
남해항일운동사 집필위원
중앙대학교 4.19혁명기념사업회장

올해도 어김없이 제102주년 3·1절이 지나갔다. 당시 전 국민이 하나가 되어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던 함성이 여전히 귓전에 맴도는 듯하다.

3·1운동의 역사적 진실은 미화해서도 왜곡되어서도 안 된다.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기록하여 후세에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36년 전인 1985년 남해의 3·1운동 발상 기념비를 세운 이야기다. 이 비문의 원안은 문신수가 만들었다. 그런데 이 비문 원안에 대해 애국자 정익주 아들 정행규(전 삼동면장·남해향교 전교)가 이의를 제기하여 문신수를 고발하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예모는 4월 2일 문항리 솥곳 만세는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나 4월 4일 남해시장에 참석하지도 않았는데 4월 2일, 4일 전체를 주도한 것처럼 첫 머리오름은 부당하다. 또 하나는 당시 재판소 판결문에 있는 이름은 강한문, 김희조, 박경수, 유봉승, 유찬슥, 윤주순, 이예모, 정몽호, 정순조, 정용교, 정익주, 정임춘, 정재모, 정학순, 정흥조, 하상근, 하준호 17명인데 6명을 추가하여 23명은 부당하다‘는 것이었다.

당시 진주법원에서 문신수가 쓴 비문에 문제가 없고, 하자가 없다는 판결을 받았다. 그 뒤 남해문화원에서 이예모는 2006년, 문신수는 2010년에 각각 ‘내 고장 역사인물‘로 선정해 문화원 앞에 현판까지 세워 기렸다.

그러다가 1919년 당시의 판결문(진주예심종결결정서, 대구복심판결문)을 찾아내자, 2019년 12월 3일 남해문화원에서 현판을 자진 철거하였다.

반면, 그동안 정행규는 아버지로부터 수백 번, 수천 번 듣고 자라면서 애국자 후손임을 자랑스러워했다. 공직에서 정년퇴직하여 남해향교 전교로 모든 이들로부터 존경받고 자랑스럽게 살아왔는데, 고소가 패소하자 아버지(정익주)가 가짜 애국자라는 소리까지 듣게 되므로 그 분함을 참지 못하였다. 그는 대인 기피증까지 겹쳐 폐인이 되어, 젊은 나이에 고인이 되었다.

아버지의 분함은 대를 이어갔다. 후손들을 만나려고 수차례 시도하였으나 전화연결이 되지 않았다.

필자는 늦게나마 그분의 한을 풀어 드렸다. 2년(2019년) 전 진주예심종결결정서(1919. 7. 15.)와 대구복심판결문(1919. 9. 23.)을 근거로, 당시 판결이 구전(口傳)을 바탕으로 한 오판임을 밝혀냈다.

특히 금년 1월 애국자 정몽호 선생 육필원고에서 확실함을 입증하였다. 그동안 문신수 필화사건으로 지칭되어 제기된 문제는 바로 남해 3·1운동의 왜곡사였다.

올해 남해문화원(원장 하미자) 향토사연구소(소장 박성석)에서 남해항일독립운동사 편찬을 위해 자료 수집 중, 지난 1월 3·1운동 주역이었던 정몽호 선생의 활동상황과 옥고담(獄苦談)을 손으로 직접 써서 남긴 육필원고를 아들 정창주 박사(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장)로부터 받았다. 남해읍 남산 3·1만세기념비 건립 공동회장(김성오, 홍남식, 정재홍) 중 한 분인 정재홍 선생 육필원고(복사본)도 추가되었다. 새로 쓰는 남해 3·1독립만세 운동사에 보물 같은 자료를 찾아냈다.

기미년 남해 3·1독립만세운동 지도자 17명 추모기념비에 잘못 새겨진 어두운 그림자를 벗겨주는 것이 후손들의 몫이라 생각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