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은 누군가. 법적으로는 만 19세에서 39세 사이를 지칭할 것이나 이 나이 또한 해석에 따라 45세까지로 늘 수 있다. 나이는 제쳐두고 요즘 같은 인구절벽시대에는 거주지에 따라 청년의 층위가 달라지는 듯하다. 시골 청년, 도시 청년, 내 빚내서 산 공간에서 빚 갚느라 정신없는 청년, 지자체에서 전폭 지원해주는 공간에서 꿈을 일궈가는 청년, 현재 사는 거주지를 옮기면 주32시간 일하고 8시간 활동해도 월 220만원을 지자체에서 받는 청년, 월 200만원에 주거정착비 30만원 등 월급 받는 청년과 평일은 물론 공휴일과 토요일에도 하루 10시간씩 일해야만 겨우 220만원 받는 청년. 청년들의 속사정이 다양하다. 군청 공고 ‘남해군 청년마을 디자인프로젝트 사업 참여기업 모집’에서 촉발된 ‘군수에게 바란다’가 뜨겁다. 재능있는 도시 청년들이 마을자원을 활용해 청년의 꿈을 실현하고 정착을 하게 한다는 취지의 공모사업으로 최대 2년간 월 200만원과 교통복지수당10만원, 주거정착비30만원, 건강검진비 등을 지원받는다. 조건은 ‘남해군 외 타 지역에 주소를 둔 청년을 50%이상 채용해 사업종료시까지 유지’하는 것으로 군내 마을기업,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영농ㆍ영어조합법인 등이 신청할 수 있다. 남해군에 정착해서 사는 한 청년이 쓴 ‘군수에게 바란다: 남해군 청년이 10명뿐인가’를 보면 ‘상대적인 박탈감’이란 키워드가 남는다. 

청년층의 인구유입이 결혼, 출산율로 이어지게 하는 연결점이며 지자체의 주요 성과로 귀결된다는 것쯤은 충분히 알고 있다. 다만 그 방향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왜 서울에 사는 청년을 모셔 오기 위해서는 1인당 월200만원이 넘는 ‘파격적’인 예산과 각종 수당을 챙겨주면서도 한켠으론 그런 파격 대우에도 우리 ‘지역’에 오지 않을까봐 전전긍긍이다. 대조적으로 이 ‘지역’에 남아 사는 청년이 겪는 불합리와 불편은 ‘파격적으로’ 그저 청년 개인의 몫으로만 돌리는지. 남해군 유입을 위해 제시한 근로조건을 조합해 역으로 우리 지역 내 실제 청년들이 처한, 겪고 있는 일자리 환경부터 살펴보는 건 어떨까. 연차ㆍ월차의 사용여부와 주48시간 근로는 지켜지는지. 육아휴직은 고사하고 출산휴가라도 차별 없이 보장받는지. 청년들을 남도록 붙드는 것은 무엇이며 거꾸로 무엇 때문에 탈출을 도모하는지. ‘창업과 귀촌’ 어디에도 끼지 못한 채 지역업체에서 일하고 생활하는 지역민의 일과 생활을 직시하고 변화시켜야 한다. 타지 청년이 피어줄 희망을 위해 공간을 마련하고, 정착을 도모하는 지원금을 주고자 사업을 해냈듯이 채 떠나지 않은 다수 청년들과 나아가 남해 사는 주민들이 가질 희망에 대한 관심과 노력도 있어야 한다. 부디 청년이 청년을 미워하지 않도록 지금 할 수 있는 일부터 찾아보자.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