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유입    
 
 1) 일본말 
  ① 구지비키→ 제비뽑기.  
  ② 무데뽀(無鐵砲)→ 막무가내, 무모. 
  ③ 사시미(刺身)→ 생선회.       
  ④ 앗사리→ 깨끗이, 말끔히.   
  ⑤ 와이로(賄賂)→ 뇌물.            
  ⑥ 호오타이(繃帶)→ 붕대.   
      〈참고〉 일본어 그대로 쓰이는 말은 이 같은   
      말들과 놀이의 준비 동작을 보이는  쎄쎄쎄
      (‘시~이~작’ 정도로 이해됨.)’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2) 일본식 한자어     
     ① 가료(加療)→ 치료(治療).
     ② 갑상선(甲狀腺)→ 갑상샘. 목밑샘.               
     ③ 견습(見習)→ 수습(修習).
     ④ 견양(見樣)→ 서식, 본보기.         
     ⑤ 고수부지(高水敷地)→ 둔치. 
     ⑥ 고참(古參)→ 선임자, 선참자.

     ⑦ 곤혹(困惑)→ 난처, 곤란. 
     ⑧ 구좌(口座)→ 계좌(計座).  
     ⑨ 기라성(綺羅星)→빛나는 별.  
     ⑩ 기합(氣合)→ 벌주기, 얼차려. 
     ⑪ 내역(內譯)→ 명세(明細).  
     ⑫ 단초(端初)→ 단서(端緖), 실마리.
     ⑬ 당혹(當惑)→ 당황(唐慌).   
     ⑭ 대절(貸切)→ 전세(傳貰).  
     ⑮ 도합(都合)→ 합계(合計). 
     ⑯ 망년회(忘年會)→ 송년회(送年會).  
     ⑰ 민초(民草)→ 민중, 백성. 
     ⑱ 백묵(白墨)→ 분필(粉筆). 
     ⑲ 부지(敷地)→ 대지, 터. 
     ⑳ 사양(仕樣)→ 품목(品目).
     ㉑ 사양서(仕樣書)→설명서, 내용서.
     ㉒ 선호(選好)→ 취택, 가려 좋아함.
     ㉓ 세대(世帶)→ 가구(家口), 집.  
     ㉔ 수속(手續)→ 절차(節次). 
     ㉕ 수순(手順)→ 차례, 순서. 
     ㉖ 수입(手入)→ 손질(병기 손질).
    ㉗ 시건장치(施鍵裝置)→ 잠금장치.
    ㉘ 시말서(始末書)→ 경위서, 전말서.
    ㉙ 시합(試合)→ 경기(競技).  
    ㉚ 신병(身柄)→ 신상(身上). 
    ㉛ 십팔번(十八番)→ 애창곡, 장기.
    ㉜ 양식(樣式)→ 서식(書式).  
    ㉝ 언도(言渡)→ 선고(宣告). 
    ㉞ 역할(役割)→ 구실, 소임(所任). 
    ㉟ 일석이조(一石二鳥)→ 일거양득. 
    ㊱ 입장(立場)→ 처지(處地). 
    ㊲ 잔고(殘高)→ 잔액, 나머지.  
    ㊳ 재중(在中)→ 듦, 들어 있음.
    ㊴ 전향적(前向的)→ 긍정적.
    ㊵ 절체절명(絶體絶命)→ 진퇴양난.
    ㊶ 촌지(寸志)→ 미의(微意).
    ㊷ 축제(祝祭)→ 축전(祝典), 잔치.
    ㊸ 출산(出産)→ 해산(解産).
    ㊹ 취급(取扱)→ 대우, 처리.
    ㊺ 흑판(黑板)→ 칠판(漆板).  
       〈참고〉 ‘결혼(結婚)’,‘소제(掃除)’를 일본 한자어라 하나, ‘결혼’은 고구려의  동명성왕 탄생 설화에도 나오며, ‘소제’는 광개토대왕릉비(414)에 ‘구이소제(九夷掃除 : 아홉 오랑캐를  
                 소제하다.)’로 나온다.
       〈참고〉 ‘축제(祝祭)’를 일본 사전에서는 ‘축하의 제사’, ‘축하와 제사’라 했는데  ‘축하의 제사’란 말부터가 남의 나라 다른 민족의 전통이다. 
                 ‘가모신사(賀茂神社)의 제 (祭)’란 ‘가모 마쓰리(賀茂祭)’에서 유래한 ‘제’를 일본에서는 festival을 ‘축제’라 하듯 ‘잔치’란 뜻으로도 쓴다. 
                 반면에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기우제(祈雨祭)처럼 신을 상대로 하는 행사에만 ‘제’를 써 왔다. ‘축전’을 쓴 최근의 예로는 성리학자 김인후 선생의 탄생을 기린 하서(河西)문화축                   전’과 ‘양산삽량문화축전’, ‘대장경 천년 세계축전’, ‘만해문학축전’들이 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