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을 보내면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되돌아보고자 신문 묶음을 차례로 넘겨보았다. 

올해의 가장 큰 이슈는 아무래도 군청사 신축부지에 대한 논의일 것이다. 
여기에 남해초 본동 건물을 당장이라도 허물고 새로 지어야한다는 안전진단 결과가 나와 기회에 남해초와 해양초 통합을 내다보면서 군내 주요공공건물의 입지를 전면재배치하는 논의의 돌파구가 열리나 했지만 각자가 가진 조건 때문에 더 나아가지는 못했다. 군청사는 현 부지를 확장해 짓는 것으로 귀결됐다. 남해경찰서와 남해교육지원청의 새 입지를 찾는 문제도 곧 대두될 사안이다.  

국립공원구역을 재조정시켜낼 상설협의체가 만들어져 1년 앞으로 다가온 재조정 기회를 놓치지 말자는 결의를 다져온 것과 한려해저터널을 국가국지도 5개년 계획에 포함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남해IGCC 건설촉구군민모임을 만들어 요로에 건의하는 노력을 펼친 것도 여기에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여수와 광양국가산단 기업체들이 측정대행업체와 짜고 배기가스측정값을 조작한 일, 광양제철소가 지난 30년 간 고로가스를 무단배출해온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정의당은 여수·광양국가산단 기업체의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남해군이 IGCC유치를 포기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대기관리권역법이 내년 4월부터 시행돼 오염원별 감축목표를 관리해 들어가는 점은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사안이다. 하지만 권역구분상 광양만 오염원을 남해군민이 실질적으로 제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동대만 갈대밭 태양광발전소는 마창환경운동의 반발에 부딪혀 실현되지 못한 것도 주요한 환경이슈였다. 대신 망운산풍력발전단지 입지 문제는 잠잠했다.    

시금치 가격과 마늘 가격의 연이은 폭락에 대처할 농산물최저가격보장제에 대한 논의와 남해군농민회가 앞장선 농민수당제 도입, 공공급식센터 운영에 대비한 지역 푸드플랜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졌던 것도 높이 평가할 현재진행형 사안이다. 남강댐 일시방류에 더한 환경적 요인으로 강진만 패류양식이 연이어 실패를 거듭하고, 갈사만조선산단조성에 따른 어업피해보상합의가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도 큰 이슈였다. 
남해읍도시재생사업, 어촌뉴딜사업, 생활SOC복합화사업 분야에서 많은 국비를 확보했던 군정성과는 좋은 점수를 매길 수 있다. 

하지만 공무원들의 열의가 느껴지지 않는다고 지적하는 사람들이 늘고 목소리도 커지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지 진단해봐야 한다는 말을 꼭 전하고 싶다. 
국도 19호선 4차선 확장공사기간 내내 우리 군민들은 사고위험에 떨어야 했다. 시행청과 시공업체는 우리 군민들에게 어떤 형식으로든 고마움을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해군체육회장선거는 후보단일화가 가능할지 아직은 알 수 없다. 멸사봉공의 자세로 남해군체육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신념이 확고한 사람은 누구인가? 
새해 벽두를 뜨겁게 달굴 사안은 최근 남해군이 생활폐기물처리장 새 입지로 봉성마을 권역내로 정한 일이다. 이에 외금마을 등 인근마을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질 모양새다. 어딘가에는 반드시 지어야 하는 생활폐기물처리장 문제가 잘 타협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