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 선생 소개
영유시20수를 쓴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은 조선중기 문신이며 서예가이다. 인조7년 숙종37년(1711)에 83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이고 의령宜寧인이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는 시조로 유명하다. 이 영유시 20수를 신갑남 서예작가의 필체로 만나본다. 

구월에 앞마을을 지나가며 노랗게 익은 것을 보다

(마과전촌책고지) 말 타고 앞마을 지나면서 일부러 채찍질 더디게 하니
(지연탐상노향피) 이는 다만 노랗게 익어 향기로운 껍질 보고 싶어서라오
(산비세출황금면) 산의 안개비는 황금 같은 얼굴을 씻어내고
(해욱홍성백옥기) 바다의 햇볕은 백옥 같은 살을 만들어 내었네
(야외의등순영좌) 들 밖에서 순령의 자리에 오른 듯하고
(림간경우자방사) 숲 속에서 자방의 스승을 만났노라
(지거풍미응동귤) 그 풍미가 귤과 같음을 아노니
(자괴오아회수시) 오 나라 아이가 소매에 품었던 때에 부끄럽네

용문사龍門寺에 들어가서 소반에 올라온 것을 보다

(상후감원원만지) 서리 온 뒤 감원에는 둥근 것 드무나
(전신대성혼금피) 전신이 대성이라 온통 금가죽이라오
(고구상증상현체) 상증을 구하느라 몸이 향상 매달려 있고
(희사제방차할기) 제방에 희사하느나 우선 자기 살을 베는구나
(비후호래단행자) 코로 맡으며 단행자를 불러오고
(안개삼견벽선사) 눈이 열리니 벽선사를 보았노라
(수성정과지하일) 정과를 만드는 것이 어느 날인지 아는가
(회대봉왕헌밀시) 봉왕이 꿀을 바칠 때를 기다려야 한다오

세속에서 꿀에 과일과 열매를 담근 것을 정과正果라고 칭한다.
곡포보曲浦堡에 들어가서 객사客舍의 뜰 앞 나무에 매달려 있는 것을 보다

(곡포성변거부지) 곡포의 성가를 다시 더디게 걸어가니
(층지흔견포상피) 층층가지에 서리 맞은 노란 껍질을 보기 위해서라오
(금린쇄갑쟁한색) 금비늘에 갑옷을 입으니 차가운 빛을 다투고
(옥장가인투복기) 옥장의 가인 향기로운 살을 시샘하네
(도이양다영살사) 복숭아가 많음을 사양하니 어찌 용사를 죽이라

 

신갑남 작가소개
2011년 제20회 농업인서예대전 초대작가  
2013년 남도서예・문인화대전 초대작가  
2009년・2015년 개인전 외 단체전 다수 참여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서예대전에서 다수 수상
현)문화원 서예강사 m.010-8872-3424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