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두나무가 복숭아를 대신해 희생한다는 뜻으로 궁극적인 승리를 거두기 위한 고육책의 일환이다. ‘이대도강’의‘강(僵)’은 말라 비틀어져 쓰러진다는 뜻이다.
큰 것을 이루기 위해 작은 것을 포기한 결과이다.
즉, 형세가 손실이 나는 쪽으로 진행될 때는 과감히 부분의 이익을 희생시켜 전체적인 이익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결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 악부시집(樂府詩集) 계명(鷄鳴)의 한 구절에서 알 수 있다.

‘도생노정상 (桃生露井上) 
복숭아나무는 우물가에서 자라고
이수생도방 (李樹生桃芳)
자두나무는 복숭아나무 옆에서 자란다.
충래이도근 (蟲來嚙桃根) 
벌레가 뿌리를 갉자 
이수대도광 (李樹代桃僵)
자두나무가 대신해 시들었다
수목신상대 (樹木身相代)
나무들도 대신 희생하거늘
형제환상만 (兄弟還相忘)
형제야 어찌 서로 잊을 손가’

자두나무가 복숭아나무 대신 쓰러지다.‘희생’을 강조하는 고사성어로 이는‘중요성이 큰 것을 살린다’는 뜻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복숭아나무의 병충해가 심해서 그 옆에 자두나무를 심어 병충해가 자두나무에 집중되어  복숭아나무가 무사히 자랐다고 한다.
이 시는 자두나무가 복숭아나무를 대신하여 벌레들에게 갉아 먹혀 희생하는 것을 형제간의 우애에 빗대어 노래한 시다.
 향나무는‘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내음을 묻혀준다’는 유래의 명언은 1920년대 프랑스의 조르주 루오(Georges Roualt)가 남긴 말이다.
중국 전국시대 제(齊)나라 대장(大將) 전기(田忌)는 내기에 빠져 경마를 즐겼다.
어느 날 손빈          은 내기 구경하다가 경마의 허점을 간파하였다.
당시의 경마는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를 한 조로 해서 3개 조가 각 한 번씩 차례로 세 번 경기를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손빈은 그 3개조의 말을 각각 비교한 결과 속력 역시 3등급으로 나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손빈은 대장 전기를 부추켜“내기를 다시 해 보십시오 제가 장군을 이기게 해 드리겠습니다.“
전기는 손빈의 말을 믿고 왕과 다시 천금을 걸고 내기를 제안했다.
경기 시작 전에 손빈은 전기에게 승리할 수 있는 비법을 알려 주었다.
”장군의 제일 느린 수레를 상대방의 가장 빠른 수레와 달리게 하고, 장군의 가장 빠른 수레는 상대방의 보통수레와 장군의 보통수레는 상대방의 가장 느린 수레와 달리게 하십시오“ 그 결과 2승 1패로 승리하여 천금을 얻었다고 한다.
이 경우, 상대방의 가장 빠른 수레와 대결한 전기의 느린 수레는 전체적인 승리를 위해 희생을 당한‘대신 말라죽은 자두나무’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전략상 국부(局部)적인 손실만으로 전체적인 승리를 도모하는 계책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