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 도덕성 성찰 후 비전 제시를
유권자 지연 등에 연연한 낡은 의식 버려야

지금까지 이장선거에서 국회의원선거까지 지역민을 유권자로 한 각종 선거가 담 하나를 사이에 둔 이웃을 원수로 만드는 등 지역민의 갈등과 분열을 부추기는  선거후유증을 낳아 지탄을 받아 왔다.

최근 치러진 농수축협장선거도 대안중심의 정책선거보다 혈연, 지연, 학연, 금연(금품 선거) 등 ‘4연고주의’의 구도로 치러졌다는 평가와 함께 각종 잡음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 주민간 갈등이 우려되고 있다.  

후보자와 유권자가 같은 생활권에서 함께 호흡하며 살아 왔고 또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조합장선거를 비롯한 소규모 지역단위의 선거는 광역단위로 치러지는 대선이나 총선보다 주민간 갈등을 야기하는 큰 요인이  지적돼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치단체장과 기초의원을 뽑는 5ㆍ31지방선거가 조합장선거로 인한 주민간 갈등양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된다면 주민들은 또 한번 심한 홍역을 겪게되는 셈이다.

농어촌 지역은 아직까지 합리적인 판단보다 정(情)이 지배하는 사회다.
또 고령화된 농어민이 주요 표밭을 형성하고 있다.

정(精)이 지배하는 고령화된 농어촌사회에서는 합리적 판단보다 주로 혈연, 지연, 학연 등에 호소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후보자들은 주로 이같은 선거전략을 구사해 지역간 갈등을 더욱 부추기는 결과를 가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후보들은 주로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하기보다 사돈에 8촌을 찾거나 학교 선후배 관계를 강조하는 선거전략을 구사하며, 자신을 지지해 줄 것을 호소해 왔다.

또한 자신과 친분이 있던 없던 간에 자신의 공약과 비전을 몇 마디로 일축하고 “어쩌겠습니까, 좀 도와주십시오”라는 말로 인정에 호소해온 것이 지역사회의 정형화된 선거풍토다.

특히 계모임과 종친회를 비롯한 지역의 많은 모임이나 단체가 원래 취지와 동떨어진 선거운동에 나서는 경우가 되풀이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이들 모임이나 단체가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이유는 대부분 후보의 자질이나 공약보다 단지 자신들의 모임 또는 단체의 출신이라는데 있다.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이들 모임이나 단체가 선거운동에 나서는 것은 혹시나 하는 특혜에 대한 기대와 차후 자신들도 후보로 나설 수도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한다.

그런데 이들 모임이나 단체가 특정 후보를 단일화시키지 못했거나 두 후보가 동시에 출사표를 던졌을 경우, 후보자뿐만 아니라 소속 회원간 갈등으로 심한 후유증을 겪기도 한다.
특정 후보에 대해 모임이나 단체가 지지를 보낼 수 있는 것이 민주주의다.

하지만 이러한 지지가 인물이나 대안중심의 선택이 아니라 단순히 자신들의 조직에서 당선자를 배출해야 한다라는 이유라면 기득권을 위한 선거운동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시되고 있다.

아울러 검증되지 않은 소문을 조직적으로 확대 재생산하는 것도 문제다.
진실과 관련 없는 ‘누가 ∼카더라’식의 비방의 말들은 유권자의 판단을 흐리게 하지만 선거 후 후보자간 갈등의 골의 더욱 깊게 만들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가장 근절돼야 할 선거문화는 막판 돈 살포다.
선거판도를 뒤집기 위한 막판 돈 살포는 정당한 과정을 무시한 위법행위이며 유권자에게 양심과 권리를 팔 것을 요구하는 매표행위이기 때문이다.

5ㆍ31일 동시선거를 앞두고 봉사할 기회를 달라는 후보자들은 고령화된 대다수의 유권자에게 더 이상 인정이나 지연에 호소하지 말고 자신의 도덕성을 성찰한 후 비전 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유권자도 도덕성을 겸비한 능력 있는 후보들에게 기회를 줄 수 있도록 학연, 지연, 혈연에 연연하는 낡은 의식을 버리고, 돈 몇 푼에 양심을 팔지 말아야 한다.

5ㆍ31 동시선거를 앞두고 화합보다는 주민간 분열을 조장하는 이러한 선거문화가 근절될 수 있도록 후보자와 유권자의 각성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