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의 안전을 무시하고 설계된 남해읍 우회도로 때문에 군민들이 계속 희생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특히 이 도로가 죽산마을을 가로질러 나는 바람에 죽산마을 주민들의 희생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고교 졸업을 앞둔 한 여학생의 안타까운 희생은 초록신호등이 켜진 횡단보도 상에서 일어난 사고였다. 우리는 이 도로의 안전 취약점을 개선해야 한다는 보도를 여러 차례 내보낸 바 있다. 공용터미널 쪽에서 이동면 쪽으로 진행하는 차량은 내리막길을 달린다. 남해전문대를 관통하는 터널을 빠져나오자마자 운전자는 횡단보도를 만나게 된다. 터널을 거의 빠져나오기 직전까지 운전자가 횡단보도 신호등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초행길 운전자가 속도를 내고 달릴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발견하더라도 때는 늦은 것이다.     

이 도로의 통행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올 때마다 교통당국은 늘 돈타령만 했다. 경찰은 자치단체에 요청한 예산을 확보해주지 않는다고 불평하고, 자치단체는 부족한 예산으로는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해를 넘겨왔다. 국회의원이나 군수, 경찰서장의 가족이 죽산마을에 산다고 가정해보면 여태껏 이런 상태로 얼버무렸을까?

주민들의 생명을 안전하게 지키는 일보다 더 시급하고 중요한 일은 없다.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도로지점에 대해서는 자치단체와 경찰이 국가를 대신하여 어떤 일보다도 우선하여 풀어야 할 문제이다. 필요하다면 창선연륙교주변개발사업 촉진을 위해 군수가 행정특별팀을 만들었듯이 죽산마을 주민들의 안전대책을 마련할 행정과 경찰 공동특별팀을 만들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본다.

읍 죽산마을 뿐만 아니다. 도로가 마을을 가로지르는 모든 마을의 주민들은 항상 사고를 당할 위험을 안고 살아가는 것이다. 설천면 월곡∼덕신, 이동면 다초∼다천 구간은 물론이고 특히 새로 개통될 창선연륙교로 인한 창선면내 교통안전여건은 크게 악화될 것이다.

이러한 군내 도로의 전반적인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주민위원회를 만들 필요가 있다. 군내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모여 주민위원회를 구성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전문가와 함께 대안을 마련하여 당국에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부산시에서는 시민안전통행권 확보를 위한 시민운동을 통해 의회가 조례를 하도록 한 사례도 있다. 이처럼 주민운동이 있어야 행정과 경찰당국은 이를 근거로 필요한 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주민위원회가 있어야 주민, 행정, 경찰의 팀 플레이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인명의 피해보다 큰 손실은 없다. 군내 시민단체들의 분발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