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명위원회가 가칭 제2남해대교의 정식명칭을 노량대교로 결정했다. 지난 9일 열린 국가지명위원회의 결정은 12대 6, 이날 참석한 21명(재적위원 30명)의 위원 중 두 배나 많은 위원들이 제2남해대교보다 노량대교가 더 적합한 이름이라는데 자신의 결정권을 던졌다.
이 결과는 다리이름을 정하는 문제에 대한 남해군 쪽의 전략과 방법이 잘못되었음을 결과론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잘못된 대처의 시발점은 남해군이 이 사안의 본질을 처음부터 냉철하게 파악하지 못한 데에 있다. 연륙교가 서로 다른 지자체의 지점을 연결할 경우 이름을 정할 때는 두 지자체장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돼 있다. 그럼에도 남해군은 섬의 독점적 권리인 양 오판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니 제대로 된 대응책이 나올 수 없었다. 우리는 이미 창선삼천포연륙교 이름을 지을 때 이를 경험한 바 있다. 이 경험을 근거로 삼았더라면 남해군은 못해도 하동군과 대결적 구도가 형성되는 상황으로 끌고 가지는 않았을 것이다. 
만약 작년 4월 하동군의회가 교량명칭을 하동대교로 해야 한다는 결의안을 채택했을 때 이 사안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그 핵심을 재빨리 파악하고 하동군 쪽에 협의를 제안하고 협의를 계속해왔더라면 결과가 어찌 되었을까? 결코 오늘과 같은 결과는 우리에게 오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지명에는 가능한‘제2’와 같은 접두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국가지명위원회의 뚜렷한 경향으로 굳어진 지 오래다. 지난 9일 국가지명위원들이 가장 많이 지적한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남해군은 처음부터 끝까지‘제2’를 고집했다. 이 고집 때문에 새남해대교라든지 보물섬남해대교라든지 남해를 집어넣을 수 있는 여지를 스스로 막아버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것 역시 이 사안에 관한 한 남해군이 제대로 된 행정능력을 가지지 못했음을 입증한다.
왜인가? 그 이유에 대해 본지는 군민들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정치적 술수로 제2남해대교 명칭 문제를 급하게 치켜들지 않았냐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박영일 군수가 갑자기 비상대책위 소집을 실과장들에게 지시한 지난해 10월 30일, 그날 오전에는 군수비서실장 매관매직비리혐의 확정판결에 따른 군수직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남해주권연대의 기자회견이 군청브리핑 룸에서 열렸다. 정보의 가치로 보면 이 기자회견 내용이 지역신문의 1면 톱기사로 실릴 만했지만 박 군수의 제2남해대교 명칭 관철 투쟁 선언으로 사퇴요구는 지면 안쪽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하동군과의 감정대립도 불사한 두 차례의 대규모 군민동원 도청 앞 시위는 매관매직사건을 덮어버리기에 충분했다. 박영일 군수는 제2남해대교 명칭 관철투쟁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목적은 달성한 셈이다.    
더한 문제는 국가지명위원회의 결정에 대한 남해군의 불복선언이다. 지난 20일 박영일 군수는 기자회견을 통해 국가지명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효력정지가처분신청을 내고 행정소송을 벌이겠다는 선언을 했다. 명분도 실리도 가능성도 희박한 일에 행정력을 쏟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남해출신 국회의원들의 도움을 받지 못했다는 밑도 끝도 없는 정치공세를 펴기도 했다. 이는 자신이 져야 할 책임을 남에게 전가하는 것이어서 당사자들의 귀에 들어가면 크게 언짢아야 할 내용이며 누가 들어도 신중하지 못하다는 비판이 나올 만한 발언이다.  
군민은 묻는다. 오늘 이 결과는 누구의 책임인가? 행정소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리는 과연 무엇인가!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