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꼬울 정도로 인색한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로서 아주 인색한 사람을 가리키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독한 구두쇠의 대명사로 통한다.
조선영조 때 충청북도 음성사람 실존인물 거부(巨副) 조록(趙肋:1649~1714)이라는 사람의 이야기이다. '자린고비'란 말은 남의 손가락질을 받는 엄청난 구두쇠이지만, 그가 평생 동안 모은 재산을, 가뭄으로 흉년과 기근이 심해지자 자기 집 곳간에 있는 쌀을 모두 내어 1만호의 백성들에게 나누어져 '자인고비(慈仁考碑:인자한사람을위한비석.자린고비조륵선생유래비)'라고 칭송받은 것이 설화로 전해지며, 그의 선행에 나라에서 벼슬을 내렸지만 마다하였다고 한다. 요즘 같으면 돈을 가장 값있게 쓰는 것은 낭비하지 않고 근면 검소하게 살면서 불우한 이웃을 위해, 평생 모은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는 의인(義人)을 연상하게 한다. 대개 '자린고비'는 돈을 모을 줄만 알고 쓸 줄 모르는 천하의 인색하기로 소문난 조륵과 관련된 얘기들이 전국에 퍼져 '자린고비'가 구전되는데 그가 모았던 많은 재산 형성을 살펴보면, 조상에게 물려받은 땅 한 뙈기 없는 초라한 가정에 태어났다. 그는 싸라기 한 톨이라도 천금 같이 아끼기로 결심하고 만석(萬石)을 채운 후에 재물을 쓰리라고 굳게 다짐하였다. 남의 집으로 떠돌아다니며 삯짐도 하면서 닥치는 대로 수족(手足)이 닳아지도록 부지런히 재산을 늘려갔다. 그로부터 어떤 일이든 손만 대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등, 재물이 들어올 징조가 보이며 하늘이 내린 사람이라는 신념으로 굳어지게 되어 결국 만석의 목표를 달성했다. 또한 날마다 소금하나를 반찬삼아 식사를 한다. 가난한 것도 아닌데 소금만으로 밥을 먹는 이유는 구두쇠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이가 소금에 질려 반찬 투정을 하였다. 그는 한참을 생각하다가, 아이의 반찬투정에 아내에게 굴비 한 마리를 사다 구워 올리게 하였다. 점심때가 되자 노릇노릇한 굴비가 밥상에 올라 왔지만, 조록은 굴비를 실로 묶어 천장에 메달아 놓고 말했다. "밥 한술 먹고 굴비 한 번씩만 쳐다 보거라." 하지만 아들이 연거푸 두 번 쳐다보자 뒤통수를 치며 말한다. "이놈아! 한 번씩만 쳐다보라니까! 자꾸 쳐다보면 짜서 물을 먹게 되잖아!" 아들은 속으로 투덜거리며 꾹 참고 식사를 하는데, 잠시 후 조록의 얼굴이 험상궂게 일그러졌다. 굴비에 파리 한 마리가 앉아있었기 때문이다. 잠시 후 파리가 날아가자 이 부자는 파리채를 들고 쫓아가 잡아 파리를 행군 물로 국을 끓어 먹었다고 한다. 또한 부모님의 제삿날 아내는 "제물(祭物)은 어떻게 준비하지요?"라고 묻자 "내가 다 준비에 놓았으니 걱정 마오" 그날 밤 제사상을 본 아내는 황당하고 어이가 없어 입이 딱 벌어 졌다. 제물대신 종이에 사과, 배, 대추, 곶감 등을 적어 놓았기 때문... 더욱이 제사를 마친 후 지방(紙榜)을 태우기가 아까워 결국 이 종이를 기름에 절여 해마다 사용했다고 한다. 자린이란 '절인'의 음(音)만 따서 한자로 표기한 것이라고 하며, 고비(考妣)란 돌아가신 부모님을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자린고비'란 돌아가신 부모님에게 까지 인색한 구두쇠란 의미로 전해지고 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