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 스스로 살기를 도모 한다’, ‘자기 스스로 살기를 찾는다’는 뜻으로, 제 인생의 무게는 자신이 짊어진다는 뜻이다. 때로는 강물처럼 한 곳으로 흐르고, 때로는 여러 갈림길에서 헤맨다. 이것이 곡절(曲折)많은 우리네 인생이다.
‘각자도생’의 유래는 삼국지를 비롯한 중국 고서(古書)를 살펴보았지만 중국 고사성어에서는 발견할 수 없고, 중국 고전(古典) ‘지식의 만리장성’에서도 ‘각자도생’의 유래는 찾을 수 없다.
하지만 정작 우리 고전에는 심심찮게 등장하는 고사성어가 ‘각자도생’이다. 임진왜란과 정묘호란으로 나라가 난리 통에 조선의 명운이 다하던 조선말기, 1594년 선조실록에는 ‘백성들이 장차 살육(殺戮)의 환난(患難)에 걸릴 것이니, 미리 알려 주어 각자 살길을 도모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의 비변사(備邊司) 보고가 있고, 인조(1627년) 때는 ‘종실(宗室)은 모두 나라와 더불어 운명을 같이 할 사람들인데, 국난(國難)을 당하자 임금을 버리고 각자 살기를 도모한 것은, 실은 작은 죄가 아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순조(1809) 때에는 흉년의 실상을 상소한 내용에 ‘각자도생’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나무껍질과 풀뿌리로 연명하면서, 각자 살기를 도모하고 있고, 어미는 자식을 버리고 남편과 아내가 결별하였으며, 떠도는 걸인들이 무리를 이루고 있다’고 기록돼 있다. 생활고에 가족이 붕괴하는 요즘 세태와 묘하게 대비된다.
특히 최근 언론에서 생산되는 기사 중에, 유독 빈도수가 많은 단어가 ‘각자도생’인데, ‘제각기 살아나갈 방도를 찾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가 현시대를 어쩌면 정확하고 명료하게 꼭 집어 표현하고 있다는 느낌 탓에 공감되는 대목이다.
우리는 왜 우리네 삶을 ‘각자도생’으로 공감하고 있는 것일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사회는 세월호사건과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정부와 공권력에 대한 불신이 커졌고 결국 민심은 지난 총선에서 여소야대의 결과를 만들었다.
청년실업률이 증가하면서 ‘금수저’니 ‘흙수저’니 하는 ‘신종계급론’이 형성되며 자괴적인 분위기마저 만연하게 됐고, 경기불황으로 서민의 삶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일반 국민들 사이에 국가와 사회에는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는 심리가 ‘각자도생’이라는 성어가 더욱 빈번히 사용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더욱이 국정농단으로 인한 대통령 탄핵정국에 대한민국은 영하의 추위에서도 평화적인 촛불행진은 계속되고 있다. 자신의 잘못을 남의 탓으로만 돌리는 조롱거리가 되어서는 안 된다. 금력(金力)에 의해 움직이는 자본주의와 권의주의의 현실이 두렵기도 하다. 남을 탓하기보다, 국민이 주인인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 되기 위해서는, ‘각자도생’의 한탄이 아니라, 권력의  감시를 게을리하지 않는 ‘각자각성’이 더 요구돼야 할 세태는 아닐지.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