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과 고령화, 지역사회 경제의 척추가 되는 젊은층의 부재.
올해 중순 발표된 자료에서 보듯 향후 30년 이내 남해군은 아마 흔적도 없을 것이라는 전망은 점차 우려를 넘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적신호’가 켜진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군은 인구유입정책으로 ‘귀농어업·귀촌’을 추진하고 있지만 최근 빚어지고 있는 귀어인과 토착민의 갈등에서 나타나듯 이같은 갈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면 ‘귀농어업·귀촌 수도 남해’는 요원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지적이 일고 있다.
앞서 갈등은 귀어인과 지역민으로 출발했지만 양측 모두 군의 귀어 정책을 “사후대책 없이 단순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이다”며, 오히려 귀어인과 지역민 사이의 갈등을 만드는 꼴로 평가했다.
이 말인즉 전입자는 있는 그래도의 현실을 채 알지 못해 이로 인해 피해를 입었으며, 토착민은 준비되지 않은, 어설픈 귀농·귀어·귀촌정책이 오히려 전입자와 마을민간의 갈등만 야기하고 있는 형국이라고 지적한다. 어느 누구에게도 환영받지 못한 귀농·귀어·귀촌정책인 것이다.
비단 이같은 갈등은 보도된 사례와 같은 귀어인을 대상으로만 하지 않는다. 귀촌에서도 기존 마을 공동의 농로 등이 전입과정에서 사유재산으로 편입돼 제 구실을 못해 갈등을 빚고 물리적 충돌까지 이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다.
귀농·귀촌과 귀어는 이미 대상층인 베이비부머세대 스스로 다양한 교육의 기회와 경험의 기회를 활용해 준비를 갖춰가고 있다. 이제는 교육이나 귀농·귀촌 홍보 등에 치중된 관심을 전입자와 토착민의 갈등관리와 조정에도 눈을 돌릴 필요가 있어 보인다.
/김인규 기자 kig24862@namhae.tv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