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통계청은 매 5년 주기로 조사해 발표하는 2015년 농림어업총조사 잠정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예상하지 못했던 바는 아니나 전국적인 농림어가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은 예상 그대로 적중했다.
이번 통계청 발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농림어가 인구는 292만4000명으로 지난 2010년과 비교해 16.4%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어가의 수도 123만7000가구로 2010년 대비 7.9%가 줄어들었다. 전체가구에 대한 농림어가의 비중도 점차 줄어들었고 농림어가의 중위연령도 50대 후반으로 이미 우리 지역에서 목도하고 있는 농림어가 인구 고령화 현상도 심각하게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자료로 보여줬다.
남해군의 상황도 이와 다르지는 않다.
전반적으로 농가인구의 수가 대폭 줄었고 어가인구도 13% 가량 감소했으며, 임가인구만 10% 가량 소폭 상승해 전반적으로 침체된 농림수산분야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가 나타났다.
농림어가 인구 감소의 원인은 전국적으로는 고령화와 택지조성에 따른 농지 감소, 업종 전환과 어선감척 등의 시책 추진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남해군의 주요 농가인구 감소는 이미 누구나 예견할 수 있는 바대로 고령화에 따른 농림어가 종사 인구의 감소다.
농림어가의 인구 감소가 농어업 전반의 침체로 인한 산업내 위기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지역 인구 감소현상이 농림어가 인구 감소와 직결되고 있는 상황이다.
1차적으로는 농림어가 인구 감소현상을 지체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1차 산업 육성에 필요한 행정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요구가 있기는 하나 결국 이같은 단편적인 대안과 이에 따른 개선책 마련은 현실적인 고령화 추세를 뒤엎기엔 ‘언 발에 오줌 누는 격’이라는 자조섞인 우려도 함께 나오고 있는 실정.
결국 농림어가 인구감소는 우리 지역이 직면한 고령화와 이에 따른 인구 감소 현상이 불러온 다양한 사회문제 중 하나에 불과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농림어업분야에 대한 지원 외에 농어촌 지역의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이어져야 한다.
남해군은 민선 6기 박영일 군정 출범 후 연소득 1억원 농가 육성과 지속가능한 수산업 육성을 위한 양식산업 확대, 임산물 재배 및 수확여건 개선, 군내 1차산업의 6차산업화 추진 등 다양한 농림수산분야 정책을 추진하는 등 노력을 경주하고는 있으나 이미 가파른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이들 산업의 종사인구 감소나 1차 산업의 고령화 추세를 뒤엎기 위해서는 정주환경 개선 등 젊은 사람들이 1차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주변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종합적 대책이 함께 시행돼야 한다.
젊은 이들이 고향을 떠나는 이유는 농사지을 땅이 없어서가 아니다. 1차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낮은 농림어업 소득이 지역의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주지 못하고 양질의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불편한 교육, 문화, 의료 등의 정주여건은 젊은이들의 이농을 더욱 부추긴다.
농림어가 인구 감소는 단순히 이들 산업에 국한해 개선이나 대책을 모색해서는 안된다. 지역의 인구감소 현상을 기반에 둔 종합적인 인구 증대시책이 결국 농림어가 인구감소현상까지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다. 젊은이들이 농어촌을 왜 떠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한 원인분석과 대책 마련이 이어져야 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