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은 일을 위해 목숨을 버리다’.
‘자신을 희생하여 옳은 도리를 행하라’는 뜻으로, 공자(孔子)는 일찍이 ‘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살기 위하여 인(仁)을 해치는 일이 없고, 오히려 자신의 목숨을 바쳐 인을 행할 뿐이다’라고 한데서 유래했다. 춘추시대 인을 이상적 목적으로 삼는 공자의 언행을 수록한 논어 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구절이다.
보통 남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시키는 것을 ‘살신성인’이라고 하는데 충(忠:충성)과 서(恕:용서) 뿐이라고 했다. 충(忠)이란 인간사회를 지배하고 초월적인 존재인 하늘(天)에 의해 규정된 질서와 법칙에 대해 자신을 허(虛=무아無我)하게 해서 따르는 정신이며, 서(恕)란 충, 즉 자신을 허하게 해서 하늘에 따르는 정신을 그대로 남에게 미치게 하는 마음인데, 따라서 충과 서란 한마디로, 자기에게 사로잡히지 않는 진실한 성의(誠意)로 남을 생각하는 마음이라고 해도 좋다.
공자는 이 충 과 서를 인(仁)이라 부르고 있다. 위에서 증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충과 서 즉,인(仁)이 공자로서는 얼마나 근본적인 관념이었던가는 완성된 인간인 군자(君子)에 대해 ‘군자는 인을 떠나서는 군자다운 이름을 얻을 수 없다’라고 했는데, 공자는 인이란 덕목(德目), 즉, 어떤 것인가를 아는(知)것 만으로는 무의미하다고 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군자(君子)’다울 것, 다시 말해 자신의 정신을 인(仁), 그것으로 바꾸는 것이다. ‘자신을 죽여서 이로써 인을 이룩하며, 참된 인간이 되고 싶다는 뜻이 있는 선비나 어진 사람은 생명을 아껴 인(仁)에 배반하는 짓은 하지 않으며 생명을 던져서 인(仁)을 성취 하는 법’이라는 유명한 말은 공자는 진리라고 믿는 것 앞에 스스로 죽음을 맹세한 중대한 결의를 나타 낸 것으로 본다. 또한 군자란 확고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으며, 지고 있는 짐은 무겁고, 그것을 운반해야 할 길은 멀기 때문에 그 지고 있는 짐이란 바로 인(仁)이라고 했으며, 그 짐이 어찌 무겁지 않겠으며 어찌 멀다하지 않겠는가? 죽을 때까지 계속 노력해야 하며 이게 바로 살신성인이라고 한다.
후진국에 속하는 비방과 음해, 부정과 부패, 집단 이기주의, 갑과 을의 관계, 교만과 아집과 갑 질을 즐기는 후안무치한 사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 아뿔사 한 행위들, 우리는 인이 없는 사회에 살아가는 기분이다. 어질 인(仁)자는 인간다움을 의미한다. 인의 의미 속에는 인간의 어진 성품과 베풂이 있는 참 인간다움이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