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신문을 오랫동안 애독해 오신 분들이나 지역현안에 관심이 큰 분들 중에는 신문을 받아들자마자 2면 사설란에 먼저 눈길을 주시는 분들이 있으리라 짐작한다. 혹여 그런 독자가 계신다면 이번호 3면과 7면 머릿기사로 실린 남해군의 선진장사행정 관련기사와 내년도 예산편성과 관련된 정국을 분석해 둔 기사를 먼저 일독하시길 권한다.
두 기사는 전혀 다른 내용을 두고 있지만 이번주 데스크칼럼에서는 두 기사 사이의 연관성을 다시 한번 더 관통하는 하나의 맥을 짚어보고자 한다.
먼저 3면에 보도된 화장률 관련기사를 다시 리뷰하면 최근 보건복지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화장률 조사에서 남해군이 통영시, 안산시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화장률을 기록해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고 이를 계기로 1990년대 말부터 이어져 온 남해군의 선진장사행정의 우수성도 다시 재조명을 받고 있다는 내용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이어 7면에 보도된 내년도 예산편성 과정과 관련된 기사는 올해 7월 정기인사 이후 불거진 박영일 군수 측근의 인사개입의혹에서 비롯된 이른바 ‘상왕군수설’로 인해 내년도 군민의 삶과 직결될 예산안 편성 및 심의 과정에서 불편한 관계를 보이고 있는 남해군과 남해군의회간의 정국 분위기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된다는 내용이 골자다.
7면 기사는 남해군의 ‘오늘’을 다룬 기사고 3면 기사는 남해군의 ‘오늘’을 얘기하고 있지만 동시에 ‘과거’와 ‘미래’를 한데 아우르는 기사라고 하겠다.
보건복지부 발표를 토대로 군내 장사행정분야에 대한 취재를 하던 중 많은 취재원들이 불법묘지 단속으로 시작됐던 남해군의 장사행정 초창기 거셌던 군민들의 정서적 반감을 기자에게 증언해 줬다. 자연스레 당시 김두관 전 군수에 대한 이야기도 상당수 취재원들의 입을 통해 들을 수 있었다.
장사행정 추진 초창기를 기억하는 한 고위 공무원은 “불법묘지 단속은 말할 것도 없고 화장터 짓는다고 할 때는 얼마나 반대가 심했는지 사업대상지인 연죽마을에서 주민설명회 할 때는 군수가 뺨까지 맞았다는 소리까지 나왔을 정도”였다고 전했고, 김두관 전 군수의 오랜 지지자는 “장사행정 추진하다 군수 자리까지 잃을 판이라고 조언해도 어찌나 고집스레 밀어붙이는지 말리느라 혼이 났다”고 하는 이들도 있었다.
김두관 전 군수의 회상도 이와 다르지 않다. 장사행정 추진 초창기 ‘군수가 어르신들에게 뺨까지 맞았다’는 말이 무용담처럼 전해지는 것에 대해 김두관 전 군수는 “과장된 부분이 있긴 하지만 당시로서는 일반 군민들의 엄청난 비난과 심지어 나를 지지하는 분들 사이에서도 이건 당분간 접어두자고 할 정도로 반대가 심했다”고 회고한 뒤 “지금 와 생각하면 그 때 반대를 무릅쓰고 추진한게 군민들 사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니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평했다. 김 전 군수가 추진했던 남해군의 장사행정은 ‘국내 장사문화는 남해가 이끈다’고 할 만큼의 롤모델이 됐고 그만큼의 위상과 명성도 지니고 있다. 김 전 군수는 엄청난 반대를 이겨낼 수 있는 힘의 원천을 ‘미래지향적인 비전과 정책의 힘’이라고 했다.
오는 2016년 남해군 예산안 편성 작업이 이제 일주일도 남지 않았다. 남해군과 군의회 사이에 이어지고 있는 냉랭한 기류를 감안하면 우려되는 지점이 없는 것은 아니나 한 가지 당부하고 싶은 것이 지금 이 정국을 만든 근원이 우리의 미래를 위해 과연 올바른가 하는 자문부터 해 보자는 것이다. 중앙정치권도 원내 쟁점이 첨예하게 대립되면 늘 꺼내드는 카드가 ‘민생’이다. 남해군에 가장 시급한 것이 그 ‘민생’, 백성이 사는 일이다. 예산안 심의만이라도 정쟁은 잠시 접고 민생에 집중해 주는, 지역의 미래를 고민하는 사회지도층의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