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Fact, 사실)만을 다루는 스트레이트 기사는 기자 입장에서 가장 쓰기 쉬운 기사다. 공신력 있는 공공기관이 발표한 통계기사는 그래서 더없이 좋은 기사의 `재료`가 된다. 이번호는 이런 좋은 `재료`를 두고 참 오랜 시간을 고민했다.
고민은 단순히 한 꼭지의 기사를 만들어내는 것을 떠나 한 사람의 주민, 한 사람의 군민으로, 우리 지역의 암담한 현실을 너무도 적나라하게 들여다보는 듯한 느낌 때문이었고 이와 연관된 통계들을 하나하나 들춰낼 때마다 시쳇말로 `답없는` 내 고향의 미래가 너무도 어둡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지난 추석특집호에서 본지는 창간 25주년 기획기사로 남해군의 인구문제를 짚어보는 기사를 보도한 바 있다. 공교롭게도 해당 보도가 나간 뒤 약 20년간의 통계 수치를 일일이 찾아 정리했던 당시의 수고가 조금은 민망(?)할 정도로 유사한 통계 자료가 발표됐다. 통계청이 지난 5일 2015년 경상남도 고령자 통계를 발표한 것이다.
전언한 것과 같이 남해군의 인구 고령화 문제는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경남도내 시군구 중 고령인구 비율 1위 타이틀을 단 것도 그리 놀랍지는 않았다. 경남이나 전국 평균에 비해서 약 20년 이상 빠른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도 이미 지난주 보도한 내용이다. 노령화지수 증가에 따른 생산가능인구의 사회적 부양부담 증가도 이미 십 수년전부터 반복해 지적돼 온 우려다.
문제는 통계에서 드러난 현실을 타개할 대안을 아무리 고민해도 뾰족한 답을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경남도내 생산가능인구 5.1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해야 하는 현실에서 남해군은 생산가능인구 1.7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해야 하는 격이다. 홀몸노인 등 고령자 부양에 필요한 사회적 비용부담의 문제를 떠나 이대로 가다가는 우리 지역에서 그 어떤 산업성장동력을 확보하더라도 우리 지역내 인적동력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스스로 주저앉을 것만 같은 불안감마저 엄습했다.
지난호 인구문제 보도가 나간 뒤 몇몇 독자들에게 기사와 관련된 평가를 들었다.
구체적인 평가는 달랐지만 이들 대다수의 평가에서 공통되는 점은 "이대로 가서는 안된다"는 위기의식이었다. 문제의 심각성을 도외한 채 근시안적이고 가시적인 성과 도출에만 주력하는 행정의 정책적 접근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분명하다는 것이다. 현재 고령인구 비율이 30%를 상회하는 지역에서 과연 정치인들이나 행정이 현재 세대의 불편함에 대한 양해를 구하고 미래세대에 대한 투자를 결정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도 있었다.
이제 더 이상 인구문제를 탄식하고 걱정하고 있어서는 안 된다. 남해군의 인구문제에 있어 실질적 해법은 미래세대에 대한 투자다. 미래세대의 투자를 강조하면 현재 세대, 현재 남해군에 살고 있는 어르신들에게는 "내 것을 빼앗겠다는 것이냐"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허나 남해군이 처한 인구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는 공론화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한 가지 질문으로 혹여 있을지 모를 오해에 양해를 구하고자 한다. "어르신의 자녀가 남해에서 살기를 바라느냐는 질문에 어르신은 망설임없이 `예`라고 답할 수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으로 말이다. 이 질문이 남해군의 인구해법을 모색하는 근본적인 화두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