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정부기조, 남해군과 여의원 공조로 철옹성 뚫어내

2007년 조선산업단지 조성사업부터, 2012년 석탄화력발전소 유치 등 질곡의 과정을 거치며 끊임없이 이어져 온 남해군의 산업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성장동력산업 기반 조성의 군민 염원이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서면 중현지구 일원에 조성될 계획인 남해 IGCC 및 신재생에너지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추진 기반이 될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7차 전기본)에 남해 IGCC 사업 1단계 계획용량인 400MW가 최종 반영됐다. 이로서 남해군은 지난해 4월말 포스코건설과 손잡고 남해 IGCC 사업을 함께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힌지 약 1년여 만에 이 사업의 확고한 추진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남해군 박영일 군수와 여상규 국회의원이 지난 언론브리핑 석상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남해 IGCC 사업은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포스코건설의 공식제안을 접수한 뒤 약 1년 3개월여의 시간동안 이 사업에 매달려왔던 남해군 경제과 투자유치팀 관계자의 말을 빌어 표현하자면 “마치 롤러코스터를 탄 듯한 기분으로 내달려온 시간”이다.
우선 지난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사업이 제안된 탓에 남해 IGCC 사업은 사업의 실체에 대한 군민들의 접근 이전에 정치적인 판단의 잣대가 먼저 들이대졌다. 지난 선거과정에서 전 군수인 정현태 후보는 서면지역 신재생에너지산단 조성 공약을 핵심공약으로 제시하며 3선 도전의 꿈을 이 사업을 통해 이어가려 했으나 낙선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선거 직후 세간에서는 당선된 박영일 군수가 이 사업에 대해 회의적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며 남해 IGCC 사업 추진 여부에 물음표가 붙기도 했다.
이후 박영일 군수는 지난해 7월 민선 6기 출범 후 서면 지역을 중심으로 한 남해군의 경제심장부 육성이라는 자신의 공약에 이 사업을 대입시켰지만 상황은 녹록치 못했다. IGCC의 초기 건설비용과다와 기술성 검증에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던 정부의 분위기 탓이 컸다.
이번 7차 전기본 수립과정에서 국회 차원의 대정부 설득력 제고와 IGCC 사업에 대한 미래가치, 정부가 이미 수립해 둔 상위 관련계획의 이행 촉구 등 남해 IGCC 사업의 반영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온 여상규 국회의원의 말에서도 이같은 상황은 읽힌다.
여 의원은 지난 22일 열린 언론브리핑에서 사업추진 초기인 지난 6월 산업통상자원부가 IGCC 발전분야를 바라보던 시각을 전하며 당시 셰일가스와 저유가 등 국제적 에너지환경 변화에 따라 화력발전 대비 건설비용이 약 1.7배나 많은 IGCC 건설사업의 경제성 부족 우려를 토대로 현재 진행 중인 태안 IGCC 실증플랜트 준공 후 약 2~3년간의 실증 운전을 거친 뒤 2020년경에나 추가 검토 계획을 갖고 있었다고 전언했다.
이후 산자부의 IGCC에 대한 이런 기조는 올해 4월에서야 약간의 변화 움직임이 보였다.
그 사이 남해군과 포스코건설은 지난 2월 IGCC 발전소 건설 사업성 분석 착수와 병행해 남해 IGCC 및 신재생에너지산단 조성사업 개발협약을 체결했으나 당시까지도 산자부 내부 기조는 철옹성과 같았다.
여상규 국회의원의 지속적인 대정부 설득노력과 남해군과 포스코건설 실무진의 꾸준한 노력으로 지난 4월말 산자부 윤상직 장관과 여 의원의 간담회에서 7차 계획에 IGCC반영 가능성이 제기됐고, 정부의 공식 발표만 기다리면 되는 단계에서도 곡절은 계속됐다.
이미 본지 보도를 통해 전한 것과 같이 국회법 개정안 논란 등으로 인한 국회 공전사태로 국회상임위 보고 일정이 지연되기도 했고, 대국민 공청회의 적격 여부 등에 대한 국회 여야간 시각차로 인해 재차 산자부 에너지소위가 개최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지난 22일 남해 IGCC 사업은 정부 공고를 통해 확정됐다.
/정영식 기자 jys23@namhae.tv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