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학문이나 재주가 놀랄 정도로 현저하게 진보한 것을 말하며, 눈을 비비고 주의하여 다시 본다는 뜻으로 중국에서는 괄목상간(刮目相看)이라고도 하며, 비슷한 말로 날로 발전한다는 뜻의 일취월장(日就月將)이 있다.
이 성어는 삼국지(三國志)의 여몽전(呂蒙傳)에서 유래했다. 삼국시대 오(吳)나라에 유명한 여몽(呂蒙)이란 장수가 있었는데 그는 어려서부터 매우 가난하여 제대로 먹고 입지도 못했고 형제가 없어 무척 외롭게 자랐다.
그러나 비록 글 읽을 형편이 못되어 무식하지만 가슴에 큰 뜻을 지녀 무공(武功)을 쌓아 훗날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어느 날 손권(오나라 황제)이 여몽을 불러 놓고 “그대는 이 나라의 대관(大官)이 아니오, 앞으로 글을 많이 읽어 학문을 익혀 스스로 계발(啓發)해야 한다”라고 권하는데 이에 여몽은 “제가 군영(軍營)에서 힘들고 눈코 뜰 새 없이 바빠 글 읽을 겨를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손권이 여몽의 말을 들은 후 고개를 저으며 웃음을 짓는데 “내가 어찌 그대들에게 경서(經書)를 공부하여 경학(經學)박사가 되라하겠는가? 단지 그 옛날 사람들의 기록, 예컨대 책을 많이 읽어두라는 말일세, 그대가 군무에 바쁘다곤 하지만 어디 누가 나만큼 일이 많겠는가? 공자도 가장 유익한 것은 독서라고 했고, 동한(東漢)의 광무제(光武帝)는 전쟁터에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고, 조조(曹操) 역시 늙어서도 책읽기를 즐겨한다고 자처했는데 그대들은 어찌 스스로 애써 공부하지 않는단 말이오”라고 하자 여몽은 비로소 그날부터 작심하여 열심히 글을 읽어 책속에서 많은 지식을 얻었고 많은 사물의 이치를 깨달았다.
당시의 선비와 노학자들로부터 여몽의 학식에 못미침을 자탄하며 놀라기도 했다. 훗날 노숙(魯肅)이 여몽을 찾아가 국정을 논하는데 이론이 고매하고 식견이 밝음을 발견하고 매우 놀랐다. 노숙은 여몽의 어깨를 어루만지며 “나는 노형이 전에는 공부를 못하고 오직 무예만이 능한 줄로 알았는데 오늘 만나 보니 학식이 이다지도 넓고 깊으니 이제는 당년의 오하아몽(吳下阿蒙)이 아니구려!”하고 찬사를 보내자 여몽이 미소를 지으며 “사람이 사흘간 헤어졌다 만나면 마땅히 괄목상대해야 하는 법입니다”라고 말했다. 여기 나오는 ‘오하이몽’은 학문이나 재주 또는 사업에 보잘것없던 사람이 훌륭하게 되었을 때 ‘그 사람 이젠 옛날사람이 아닐세’라며 찬사를 보낼 때 쓰는 말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노력을 쌓아야 영예가 찾아온다고 하듯이 광적으로 덤벼야 무언가 이룰 수 있다고 한다. 최후의 승자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포기하지 않는 것이며 시련에 좌절하지 않고 일어서는 열정이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