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요원 대부분 교사들이 맡아 ‘유명무실한 대책’ 실효성 의문 

수학여행은 소규모테마여행으로 형태변화
안전사고 예방차원 수학여행 안가는 학교도

지난 16일은 304명의 학생이 자신이 꾸던 꿈에 날개조차 제대로 펴지 못하고 세상과 등지게 만든 세월호 참사의 1주년이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가 쏟아낸 각종 학교 안정 강화 대책에 학교현장은 수학여행을 소규모테마형식으로 바꾸거나, 실시하지 않는 변화를 이끌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안전교육 시간이 늘어나는 등 전반적인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있었지만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지 못한 처방만 쏟아내면서 안전요원 배치와 같은 대책에 대해서는 보여주기 식의 대안이라는 실효성에 대한 제기와 지적이 일고 있다.

▲안전요원은 교사가. 대책 실효성 의문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에 대한 관심과 대책마련이 제기된 가운데 가장 큰 변화는 수학여행 시 안전요원을 배치한다는 대책이었다.
교육부가 내린 지침에 따르면 교육부는 5학급 또는 150명 이상 수학여행을 실시하면 50명당 안전요원 1인을 배치하도록 됐다.
남해의 경우 전체 초·중·고 30개교 중 대부분 전교생이 100명이하의 소규모 학교로 안전요원 배치 지침에 해당 사항이 없어 다른 시 단위 지역 대규모학교가 겪는 외부 안전요원을 모집하는 등의 어려움은 없었으나 기타 현장체험 학습에서 학생 안전사고를 대비해 도교육청 차원에서 교사에게 안전요원 연수를 실시해 ‘준 안전요원’으로 활용한다는 점에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군내 A중학교의 교사는 “소규모 학교의 경우 이번 교육부의 지침이 해당하지 않아 기존과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 그나마 안전교육에 대한 교육 및 연수 시간이 늘었다는 점은 달라졌지만 안전교육을 15시간 이수하면 안전요원 자격으로 인정되는 것에 대책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고 전했다.     
덧붙여 이 교사는 “전문적으로 현장연수와 이론교육을 받은 안전요원과 학교에서 학교업무를 병행하며 이론적 교육만 받은 교사가 실제 사고현장에서의 대처능력을 비교해보면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또 군내 일부 150명 이상의 학생이 있는 학교는 여행사에 안전요원 배치를 요청하기도 하지만 비용은 교육청이나 행정의 지원 없는 자부담으로 교사들이 교육이나 연수를 받고 안전요원으로 함께 투입되는 사례가 일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외에도 소·대규모 학교에서 공통된 지적으로 안전교육 연수를 받을 때에도 체계적인 교육인프라의 부족해 대부분 원격으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을 꼽는 등 이번 대책이 현재 교육현장에서도 환영보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잇고 있었다.  

▲수학여행 폐지, 소규모 테마형으로…

안전요원 배치대책과 함께 소규모 테마형으로 수학여행 및 현장학습을 진행하라는 지침에 따라 학교별 수학여행의 형태와 준비과정이 변하고 있었다.
군내 대부분의 학교에서 봄과 가을에 많이 진행됐던 현장학습의 횟수도 많이 줄었다.
남해교육지원청이 파악한 ‘2015년 수학여행 실시(예정) 학교별 현황’에 따르면 관내 초·중·고 30개교 중 약 26% 해당하는 8개교가 올해 수학여행을 가지 않는다.
세부적으로는 초등 1개교, 중등 5개교, 고등 2개교가 올해 수학여행을 계획하고 있지 않았다.
일부는 소규모학교로 수학여행을 격년제 혹은 3년 주기로 진행하고 있어 올해 해당년도가  아니라 실시하지 않는 학교도 있었으나,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사고의 예방차원에서 수학여행 계획을 반영하지 않은 학교도 있었다.
B고등학교는 “지난해 세월호 사고에 이어 수학여행 코스의 안전문제가 우려되어 수학여행을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며, “수학여행을 대신해 반별 진행되는 체험학습에 무게를 두고 운영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또 군내 일선 150여명 이상의 학생이 다니는 C고등학교는 올해 지침에 따라 학생의 요구를 파악해 진로에 맞춤형 소규모 테마형태로 진행했으며, D고등학교는 여행사를 통해 안전요원을 구해 기존의 방식대로 운영하는 등 세월호 사고 이후 수학여행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하고 있었다.
/김인규 기자 kig2486@namhae.tv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