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말 농어촌지역의 새로운 교육모델로 대안학교의 길을 택해 ‘작지만 강한 교육’, ‘지역과 함께 하는 교육공동체’로의 변화를 모색해 온 상주중학교가 지난 4일 경남도교육청의 대안교육 특성화중학교 지정으로 새로운 변화의 첫발을 내딛었다.
경남도내 공립학교로는 거창 태봉고등학교에 이은 두 번째 사례이며 도내 중학교로 대안교육 특성화학교에 지정된 것은 상주중이 처음이다.
지난해 10월 상주중학교가 대안학교의 전환을 모색하던 중 경남도교육청 박종훈 교육감이 학교를 방문했을 당시 본지는 상주중학교의 대안학교 전환시도를 ‘농어촌 교육현장의 아픈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농어촌의 교육현실은 이미 교육계 뿐만 아니라 수많은 군내 학부모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과 같이 농어촌 지역의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이에 따른 학령자원 감소, 이로 인한 소규모 학교 통폐합, 복식학급의 증가로 인한 교육의 질적 저하로 이어져 왔다.
이같은 농어촌 교육현장의 구조적인 문제는 교육적이고 사회적인 관점에서 개선책을 모색하기 보다 경제적 관점에서의 효율성 측면이 더욱 강조돼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상주중학교가 소규모 농어촌 학교가 직면한 구조적 한계를 타개해 나가기 위해 대안교육 특성화학교로의 변모를 시도하고 최근 교육당국으로부터 지정을 이끌어 낸 것은 이미 경남도내 첫 공립학교의 대안교육 특성화고의 문을 열었던 경험이 있는 여태전 교장의 뚝심있고 일관된 교육자적 소양과 여 교장의 가치관이 불러일으킨 변화라는 점에서 그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여기서 잠깐 사족을 보태자면 필자의 나이가 그리 많은 편은 아니나 필자의 유년시절 운동회 장면만 떠올려봐도 그 당시 시골에서의 ‘학교’는 학생과 교육자들에게만 국한된 공간은 아니었다.
운동회 당일 아침에는 지금 필자 나이 정도되는 동네 청년들이 마을별로 천막을 쳐 올리고, 국민체조 음악으로 운동회가 시작되면 칠순팔순이 넘은 동네 할머니들이 옥빛 한복을 입고 손주들 운동회 구경을 왔다. 교장선생님과 양복을 입은 중년의 신사들은 조회대 옆 천막 아래 의자에 앉아 한참을 이야기했고 동네 파출소장은 계급장이 빛나는 정복을 입고 참석하기도 했다. 불과 삼십년도 채 되지 않은 필자의 유년시절 기억이다.
그 당시 학교는 학생들에게는 지식을 얻는 곳이기도 했지만 이런 자그마한 기억들이 소위 민주시민사회의 일원으로 갖춰야 할 기본적인 소양을 배우는 공간이기도 했고 ‘지역공동체’라는 사회학적 용어를 자연스레 체득할 수 있는 기회의 공간이기도 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상주중학교의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지정이 의미있는 것은 비록 출발은 열악한 소규모 농어촌학교를 회생시키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었으나 상주중 여태전 교장이 한 일간지 칼럼에서 쓴 것과 같이 ‘돌아오는 농촌 다시사는 마을학교’를 넘어 ‘이웃학교와 지역사회와 한 뼘이라도 꼭 여럿이 함께 손발을 맞추고 싶다’고 썼던 그 가치다.
아프리카 속담에는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때로는 전인교육(全人敎育)을 지향하는 교육계 인사의 입을 통해 때로는 민주적 시민소양을 강조하는 시민운동가의 입을 통해 나오기도 하지만 바로 이 속담이야 말로 상주중학교의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지정에 가장 잘 맞는 말이 아닐까 한다.
상주중학교의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지정에 따른 추진계획들이 원활히 이어져 늘 침체되고 부정적 색채로 가득했던 농어촌 교육현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모델이 되기를 희망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