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6월이 찾아왔다. 매년 이맘때면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반세기 넘도록 분단 국가라는 아픈 현실을 되짚어 내며 참전용사 및 유가족, 전쟁에서 상해를 입은 상이용사들에 대한 언론 보도와 각계의 칼럼, 기고가 줄을 잇지만 매년 이맘때 의례적으로 하는 일인양 흘려지날 뿐 매년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안타까움이 빚어지고 있다.
남해군이 지난해 참전용사 1인당 3만원이 지급되던 참전수당을 올해 2만원 인상된 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이들 한국전 및 월남전 참전용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기념탑을 설치하는 등 예우를 갖추기 위한 행정적 노력을 보이고 있는 것은 이같은 반복된 안타까움 속에서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최근 언론 보도를 통해 발표된 통계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6·25 참전 용사 중 생존자의 87%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한국전이 일어난지 60여년이 넘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다수의 생존한 참전용사들이 노환이나 숙환에 시달리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안타까움을 넘어 개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전쟁 참전으로 신체에 씻을 수 없는 상해를 입었거나 전사한 이, 또는 전사자 유족에 대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일정 보상이 이뤄지고는 있지만 이같은 고령의 참전용사들이 생존해 있을 시 받을 수 있는 참전수당 등은 여전히 지자체 조례에 근거해 지원되고 있는 탓에 지급 기준도, 금액도 천차 만별인 현실이다. 또 일부 지자체에서는 참전용사에 대한 무상 의료지원 혜택과 또 이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시 무임승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사회적 간접 지원책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 또한 지자체 재정여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다 보니 각종 폐해와 상대적 상실감에 시달리는 참전용사들이 허다한 실정이다.
매년 6월, 떠들썩한 보훈관련 기사와 참전용사에 대한 여론 환기성 보도가 줄을 잇고 있지만 정작 이를 국가 차원에서 고민해야 할 정치권은 이를 자신들의 정치 지평을 넓히기 위한 카드 정도로 치부하고 있지 않은가. 생존한 한국전 참전용사들이 대다수 팔순이 넘은 고령인 점과 ‘당신이 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습니다’라는 말이 단순한 립서비스로 그치지 않게 하려면 시급한 국가 차원의 입법과 지원책 모색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