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이 지속적으로 신규 사회복지사들의 실습 현장, 단순히 경력을 쌓는 장소가 되어간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장애인관련 시설 종사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남해군내 장애인 이용 시설 종사자들의 이직률은 타 지역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대다수 장애인 이용 시설 종사들이 길어야 2년, 이후에는 타 지역의 시설로 옮겨 간다는 것.
어느 정도 경력이 쌓이면 떠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 처음부터 경력을 쌓을 목적으로 남해를 찾는 경우도 있다는 설명이다.
한 장애인관련 시설 종사자는 “모든 장애인 이용 시설 종사자들이 그렇다는 말은 아니며 대다수가 자신이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이용 시설은 장애인 생활 시설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타 지역에서 고용된 인력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이 사실이다”며 “이직률 또한 마찬가지로 높은 편이어서 직원이 자주 바뀌는 편이다”고 말했다.
실제 군내 한 장애인 이용 시설의 종사자 구성 비율을 보면 타 지역에서 고용된 인력이 전체의 80%를 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하루 이틀 일이 일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고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남해군내에 인력 자체도 없거니와 그 동안 인력을 양성하는 장애인 이용 시설도 많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여러 시설 종사자들의 설명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타 지역의 인력이 단기간에 남해를 떠나는 이유는 명확했다.
일단 남해에서 근무를 하게 되면 자취나 하숙생활로 생활비가 쓰인다.
타 지역인 남해군에서는 자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것보다 기본적으로 일정 비용을 더 써야 된다.
남해군에서 근무한다고 급여를 더 받을 수도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일이 쉽고 편한 것도 아니다,
다른 사람들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 시킨다는 사명감이나 봉사정신도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무환경’에는 오래 갈 수가 없다.
때문에 아직도 어려운 이웃의 손과 발이 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양질의 복지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은 희생만 강요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국가적으로도 복지사회를 지향하고 있는 현 시점에 사회복지수요자들을 질적으로 만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들의 처우 개선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군내 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복지종사자들 사이에서 흔히 주고 받는 농담이 ‘젊은 복지사들 끼리 결혼하면 곧 바로 기초수급권자가 된다’는 것이다. 남해군내에서도 많은 종사자들이 열악함 속에서도 희생정신과 봉사정신,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하고는 있지만 대부분이 3년을 버티지 못하고 남해를 떠나고 있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이에 한 군민은 “농산어촌에 비해 재정자립도가 높은 도시지역에서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에게 별도 수당을 제공하고 있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남해군에서는 도시수준의 별도 수당을 제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양질의 복지서비스,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사기 증진, 인구 외부 유출 방지 등을 위해서 적은 비용일지라도 격려수당, 특별 수당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사회복지시설 단체장들의 선진지 견학에 드는 비용을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에게 수당으로 제공한다면 남해군의 전반적인 사회복지에 더 큰 상승효과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사실상 지금까지 남해는 사회복지 실습현장이다. 과거와 달리 현재 남해군에는 사회복지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많이 구축돼 있다. 앞으로 남해대학에 사회복지관련 학과를 개설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등 남해군의 전체적인 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강구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