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교과부가 전국의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 전수조사 결과 공개를 놓고 교육 당국은 물론 전 언론이 전수조사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일부 도 교육청에서는 전면 재조사 시행계획을 내놓는 등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양상이다.
그러나 이같은 논란과 전수조사 시행방식과 관련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군내 학교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는 원론적 학교폭력 예방과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다소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어 일선 학교 및 교육당국, 관계기관의 공조와 꾸준한 관심이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언급한대로 각종 수치를 분석하는 과정과 자료 공개 범위 등을 놓고 널뛰기를 반복한 교과부가 이같은 전수조사 결과에 신뢰성을 실추시키는 자승자박(自繩自縛)의 우를 범하긴 했지만 일단 군내 학생들이 응답한 이번 전수조사 결과 피해 유형을 보면 감금폭행을 경험했거나 통상적으로 학교폭력의 대표적 유형인 금품갈취와 상습적 폭행 사례가 답변 내용에 결코 적지 않은 수치로 나타났다는 것은 농어촌 지역이니까 도시지역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지 않겠냐는 통상의 짐작에도 불구하고 다소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번 전수조사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요인으로 전국에서 20% 내외의 낮은 응답율이 언론과 일선 학교, 교육관계자들에게 교과부의 실책(失策)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역으로 방학기간 중 실시된 전수조사 결과는 여러 면에서 이같은 논란을 상쇄시키고 지역내 응답결과의 무게감을 더해주는 분석을 낳기도 한다.
우선 공통적으로 이번 전수조사 결과의 신뢰성에 의문을 더하는 관련 보도나 여론을 살펴보면 전체 응답율이 20% 내외의 낮은 수치라는 점을 주로 전하고 있는데 이런 수치의 논란을 떠나 이번 결과를 적어도 군내 일선학교와 관계기관에서 유의미하게 분석해야 하는 이유는 군내 일선 교육관계자의 증언에서도 확실히 드러난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계자는 “수치의 고저(高低)을 떠나 이 결과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여긴 군내 일선학교 관계자 및 당국의 예상을 벗어나 다소 의미 있는 몇몇 데이터를 보여줬다. 일선학교가 직면할 ‘폭력학교’ 낙인 등으로 이미지 실추에 대한 우려는 있겠지만 설문 작성 당시가 방학기간이었던 점, 응답설문지가 학교 등 기타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회신된 점 등 조사결과의 회수 경로를 볼 때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기 보다 일선 학교에서는 찾기 힘든 보이지 않는 폭력의 실체가 이번 전수조사에 드러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도시지역에 비해 낮을 것이라는 상대적 기대효과에 반하는 충격적인 피해 유형이나 비율면에서는 타 지역에 비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학교폭력이 불러오는 사회적 파장을 감안하면 일진 인식수 128건이나 결과에 나타난 폭력 사례 119건은 전국적인 오명을 불러 올 수 있는 단 한 건이 될 수 있다.
지금 전국을 뒤흔들고 있는 사회의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도 지난해 대구에서 일어난 중학생 권 모군의 자살사건에서 촉발되지 않았는가.
이번 교과부의 전수조사 결과를 놓고 자료의 신뢰성 등을 중심에 둔 논란은 사실 이번 사안의 핵심을 결코 아니다. 이번 전수조사 결과 대다수의 학교폭력이 학내에서 일어난만큼 또 교사 1인당 학생 비율이 낮은 지역 소규모학교에서는 발생건수가 없거나 상대적으로 낮았던 점을 감안하면 학교폭력 예방의 최전선은 일선 교사들과 학교 관계자들의 몫이라는 점을 그대로 강조한다.
경찰 등 학교폭력 대응·예방 유관기관도 이같은 논란을 떠나 군내 실질적 폭력서클 존재 여부, 청소년 비행·탈선 우범지대 순찰 및 예찰 강화 등 지속적인 관심과 예방활동의 전개가 필요하고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대로 학내 학교폭력 피해사례 예방을 위한 담당교사 인센티브 지급에 대한 건도 필요하다면 요구해 학교폭력 예방·근절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결국 학교 폭력 해소의 최전선은 일선 교육현장이라는 점이고 이에 대해 각 유관기관 및 지역사회 전체의 관심이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학교폭력의 피해자는 어쩌면 내 아이일 수도 있다는 차원에서 기성세대 전체의 관심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