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군민들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 증진 및 자립생활 의욕 고취를 위해 기념식과 각종 부대행사를 가졌다. 이 주간을 중심으로 장애인 관련 복지 시설이나 단체에서 장애인 인식개선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이 시설 중심의 재활이나 시혜와 보호의 관점에서 권리와 참여 그리고 자립생활로 전환되고 있다. 물론 아직도 장애인복지는 장애인을 재활의 관점에서 치료와 더불어 가족과 개인 중심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장애인복지 예산이 보호와 재활이라는 명분으로 대부분이 시설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제는 변화되어야한다. 장애인을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에서 나타나는 환경적 장애와 물리적 장애물을 변화시켜야한다. 특히 우리 지역은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높은 장애인 출현율과 초고령화로 사회적 약자가 많다. 이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주민들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나아가 보물섬 공동체 구현을 위해 장애 없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한다.

먼저, 우리 지역을 물리적 장애물이 없는 환경으로 조성하여야한다. 우리 지역은 초고령화 사회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생활공간이 어르신들이 주 이용자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시설은 편의시설의 설치를 외면하고 있어 이들의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장애인의 날이 개최됨에도 행사장 단상에는 가장 기본적인 경사로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임시 경사로를 만드는 해프닝이 벌어지고 있다. 이것이 지역의 현실이다.

둘째로. 제도적 장애물 제거이다. 아주 작은 것이지만 우리 지역 조례안 중 시설 이용에 장애인의 출입을 제한하여 차별을 심화할 수 있는 용어가 있다. 고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시대적 상황에 맞게 조기에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우리가 가진 장애에 대한 사고의 전환이다. 우리는 장애인들을 판단할 때 그들의 능력은 보지 않고 그들이 가진 장애만 보고 그들을 무능력한 존재로 치부해 버린다. 하지만 장애인의 날 행사에서 식전 행사로 공연된 소망의집 밴드 연주와 사랑의집 사물놀이 연주 실력은 그들의 능력이 무한하다는 것을 입증해 보였다.

이처럼 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능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 아무도 그들의 능력을 보아주지 않기때문에 능력을 펼쳐 보이지 못할 뿐이다.

장애인의 날에 장애인을 도와주자는 공허한 메아리보다는 그들이 스스로의 능력으로 지역사회에서 구성원으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환경적 장애를 제거해 주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나부터 그들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멘토가 되고 지지자가 되어 내년 장애인의 날에는 장애인들이 진정 주인이 되는 날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