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활성화의 키워드 ‘교육’

학교와 교육이 사람을 이끈다

남해군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그 영향이 학교에도 미치고 있다.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학령인구가 줄고 면단위 초등학교, 중학교는 점점 소규모 학교가 되어 간다. 소규모 다음은 분교, 분교 다음은 폐교다. 그런 과정을 거쳐 군내의 많은 학교들이 폐교돼 문을 닫았다. 사실상 학교가 문을 닫은 지역에는 뛰어노는 아이들은 고사하고 젊은 사람 자체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최근 전국적으로 청장년층 귀농, 귀촌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 대다수는 우선적으로 학교가 있는 지역을 선호한다. 학교가 없어지는 것은 그 지역에 인구가 늘 희망마저 없어지는 것이다. ‘학교가 죽으면 지역도 죽는다’는 말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지역인구, 학령인구 감소, 고사되는 학교와 지역 문제는 비단 남해군만 겪고 있는 것이 아니다. 저출산 등의 이유로 도시, 농촌 할 것 없이 인구감소는 전국적인 현상이며 대다수 농촌지역의 사정도 남해군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 이러한 상절에 전국의 지자체들은 인구유입을 위해 저마다 자구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남해군과 비슷한 상황에 놓인 전북 임실군, 거창군 등 타 지역을 찾아 인구 유입과 학령인구 확보를 위한 교육계와 행정의 연계 정책 사례들을 살펴보고 남해군의 당면 과제인 인구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아봤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인구 유입 위해 학교가 필요하다
2. 타지자체의 성공적인 교육, 귀농 정책
3. 지역사회와 소규모 학교, 상생의 해답은

남해군 내의 인구감소 현상은 오늘 내일의 문제가 아니다.
남해군은 60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에 비해 40%를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에다 젊은 층의 유입도 거의 없다.
남해군의 실정은 현재 읍이 아닌 면소재지의 몇 몇 단위 마을에서는 아이들은 고사하고 사람자체를 찾아보기가 힘들 정도다.
최근 남해군의 통계에 따르면 군내 인구가 400여명 정도가 늘었다고는 하지만 이는 내년 선거를 대비한 '반짝증가'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중론이다.

지속적으로 군내로 젊은 층의 유입은 없고 사망하는 사람의 수보다 출생하는 아이의 수가 적은 현실에서 야기되는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겠지만 현재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제는 바로 ‘학교’다.
사람이 없으니 학생 수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학생 수가 줄어들면 학교는 문을 닫아야 한다.  
학교가 없어지면 그 지역도 단순히 학교만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 이상의 무언가를 잃게 된다.
남해군과 같은 경우에는 학교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장소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현재 폐교가 되어버린 학교들은 대부분, 과거에 주민들 자신의 땅을 기부하고 노동력을 기부해서 세워졌다.
그렇게 지역 주민의 애정이 담긴 학교가 없어진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흔히들 ‘학교가 죽으면 그 지역도 죽는다’고 말을 한다.
지역이 먼저 죽어서 학교가 죽는지, 아니면 학교가 죽어서 지역이 죽는지 명확하게 인과관계를 따질 수는 없지만 현재 남해군의 실정은 ‘학교가 죽으면 그 지역도 죽는다’는 말을 부정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학교와 지역은 떼려야 뗄 수없는 ‘상생’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남해군에 젊은 층의 인구 유입이 점차적으로 늘어난다고 가정을 한다면 학교가 없어지는 것은 그 지역의 인구유입의 가능성마저 없어지는 것이다.

감소하는 학령인구

남해군내의 학령인구, 즉 학교에 입학하는 아동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올 초 덕신분교를 포함한 14개 초등학교에 입학예정이었던 아동 수는 총 269명.
2008년도에 입학예정 아동수는 322명.
최근 4년 사이 53명이 줄었다.
중학교도 2011년에는 446명이었으며 2008년 463명과 비교했을 때 17명이 줄었다.
남해교육지원청은 올해뿐만이 아니라 2012년에는 232명, 2013년에는 231명 정도로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를 근거로 남해교육지원청은 7개 군내 소규모 초중학교를 분교 및 폐교대상으로 지정하고 추진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귀농인구 늘어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최근 전국적으로 농촌 인구의 감소세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에서 농촌으로 귀농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림부에 따르면 지난 2000년부터 2005(876만 4000)년까지는 전국의 농촌인구 중 6.58%가 감소했는데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0.08%(875만 7000) 만 줄었다.
가구 수 또한 2005년(5076가구)까지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지난해 2010년에는 1만 4503가구까지 증가했다.
귀농인구의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경남도내에서도 귀농인구는 증가했다.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535가구가 귀농했으며 올해에는 상반기까지 651가구가 귀농했다. 
도내에서는 50대, 40대가 가장 많았다.

학교와 귀농의 상관관계

60~70대의 은퇴 후 노후를 보내기 위한 귀촌이 아닌 도시에서 하던 일을 접고 귀농을 생각하는 청장년층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농사’이다.
전국적으로 농촌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에 인구유입을 위해서 각 지자체에서는 귀농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남해군 역시 경남도의 5개년 귀농지원계획에 따라 귀농정책 및 전입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홍보활동도 펼치고 있다.
귀농지원정책의 요는 토지 및 주택지원, 농산물 판로 확보 등 귀농인이 터를 잡고 농사를 지으며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그런 궁극적인 목적을 가진 귀농정책은 각 지자체마다 지원금이나 지원 대상 요건 등에서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크게 다를 것은 없다.
귀농을 희망하는 청장년층이 귀농지원정책으로 주택마련 등을 비롯한 농사일에 대한 부담을 덜었다면 다음으로 하는 걱정은 자녀의 교육이다.
초중학생 자녀를 둔 귀농희망자들이 눈여겨보고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자신이 살고자 하는 지역에 학교가 있느냐 없느냐다.
자신의 자녀 교육에 쏟는 관심의 정도와 교육열은 도시와 농촌 구분 없이 대한민국 어느 곳이라도 크고 높다.
특히나 도시에서 자녀 교육을 시켰던 귀농희망자들은 자녀 교육을 위해 초등학교나 중학교가 있는 지역을 선호한다.
학교가 없는 지역은 처음부터 그들의 선택대상에서 제외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귀농희망자들이 학교가 있는 지역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은 그 학교의 교육방식이다.
선택할 수 있다면 아무래도 평범한 학교보다는 특색 있는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를 선호한다.
반드시 온가족이 귀농이나 귀촌을 하지 않더라도‘학교가 괜찮다’고 판단이 들면 아이만이라도 그 지역으로 유학을 보낸다.
중고등학생은 물론이고 초등학생도 마찬가지다.
전원학교 육성, 특성화 교육을 운영하는 남해군내의 몇 몇 면단위 초등학교에도 부산, 진주 등의 대도시에서 전학 문의가 종종 있어 왔다.
또 그 특색 있는 교육 때문에 남해읍에서 면단위 학교로 전학을 가는 경우도 있다.
타 시군의 성공적인 인구 유입 정책이나 사례를 보아도 그 바탕엔 학교와 교육이 있다.

학교, 반드시 필요하다

가까운 일본의 한 지역에서는 학생 수가 적어 학교가 폐교가 될 상황에 이르면 한시적으로 문을 닫는다.
폐교가 된 상태에서도 그 지역에 한 명이라도 입학생이 생기면 학교를 다시 운영한다고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학교가 한번 폐교되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은 없다.
남해군에서도 폐교된 후 부활한 경우는 전무하다.
때문에 타 지역민들이 오히려 남해군에 대해‘지역에 학교는 필요하다.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충고한다.
남해군의 깨끗한 천혜의 자연환경과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푸른 바다는 타 지역민들에게 부러움의 대상이다.
남해군은 자연 환경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 교육 환경면에서도 대 도시와 비교해도 뒤처지지 않을 만큼 뛰어나다.
거기에, 예전부터 수많은 인재를 배출하게 했던 높은 교육열도 있다.
여러 좋은 조건들을 가진 지금, 학교가 내 지역의 소중한 자산이며 희망임을 다시 한 번 생각하고 관심을 가질 때다.

<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 사업비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