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공예전시회 준비중인 ‘진메옹기’ 김용태씨
![]() | |
모나지 않으며 화려하지는 않지만 은은히 자신을 드러내며 넉넉한 품으로 삶과 자연을 껴안는 그릇이 우리 옹기다.
옹기는 자연에서 얻은 흙과 재를 사용해 만드는 그릇으로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옹기를 소중히 여기며 자연과 늘 함께 해 왔다.
그러나 요즘은 옹기가 차츰 그 자리를 플라스틱에게 내 주고 있다.
김용태씨가 옹기와 인연을 맺은 것은 90년대 초반이었다.
직장생활을 하다가 ‘문득 이렇게 사는 것이 진정한 삶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고 싶었고 나만의 삶을 찾고 싶었다.
![]() | |
그리고 지금 밤이면 별과 달을 보며 작업장을 찾고 달덩이같던 그릇을 만들어내며 흙과의 소중한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김용태씨가 옹기를 굽는 공방은 읍 평현마을 산자락에 있다. 흙집을 짓고 그는 이곳에서 틈나는대로 옹기를 빚어낸다.
그는 2년전까지만 해도 이곳에서 옹기를 굽는 일에만 매달려왔으나 생각같이 일이 잘 풀리지 않아 지금은 직장을 다니면 밤시간이나 주말을 이용해 옹기를 빚어내고 있다.
![]() | |
김용태씨는 오는 16일부터 3일간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열리는 ‘제1회 남해군전통공예전시회’에 남다른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옹기의 아름다움이나 은은한 자태를 맘껏 뽐낼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접하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한번 옹기와 인연을 맺은 사람들은 그 멋에 항상 가까이 두고 즐기기에 전시회같은 열린 공간은 옹기를 일반 사람들에게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용태씨는 “옹기를 보통은 질그릇이라고도 표현을 하는데, ‘질’이라고 하면 여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생명을 소중하게 기르는 ‘살아있는’의 또 다른 표현”이라며 자연이 빚은 숨쉬는 그릇에 대한 풀이를 내놓기도 했다.
오는 16일부터 열리는 전시회를 찾아 뒤안길 볕바른 곳에서 햇살을 받으며 묵묵히 저 할 일을 다하는 숨쉬는 그릇 옹기처럼 전통공예를 지켜가는 지역공예가들의 숨겨진 멋들을 느껴보자.
3일동안 펼쳐지는 전시회에는 옹기의 멋 말고도 나전칠기나 손바느질, 도자기, 천연염색 등 우리 조상들이 지켜온 은은한 멋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