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첩제 개최시기, 추진주체 선정 등 여전히 ‘안갯속’

남해군은 지난 21일 군청회의실에서 노량해전승첩제 발전방향 토론회를 열었다.

정현태 군수가 주재한 이날 토론회는 노량해전승첩제전위원회, 남해문화원, (사)남해충렬사, (사)남해군역사연구회 등 군내 이순신 관련 문화유적관련 단체들과 남해군 문화관광과 군청 각 실과 공무원 및 경찰, 소방, 모범운전자회, 해병전우회 등 외부 지원 협력기관·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제10회 노량해전승첩제의 존폐 논의가 있었던 11월 평가보고회에서 예고된 바와 같이 이순신운구행렬재현행사 이후 승첩제의 성격변화와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내년도 승첩제의 개최시기와 명칭, 행사주체 등을 설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 초반에는 향후 승첩제의 성격과 방향전환을 위한 시험무대로 사전의미가 주어졌던 만큼 이순신운구행렬 재현행사에 대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주관을 맡았던 (사)남해역사연구회 정의연 회장을 비롯한 대다수 참석자들은 재현 소품으로 쇼핑카트 등장, 다소 작은 상여규모, 재현의복 준비 미흡, 음식·식수 부족 등 진행상의 일부 문제점들을 제외하곤 대체로 성공적이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특히 이순신운구행렬 재현행사를 후원한 경남도 관광진흥과 이순신프로젝트 담당 김종임 사무관은 “전국유일의 순국아이템을 개발·활용해 온 남해군이 이번 운구행렬 행사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치러내면서 더욱 철저한 역사고증을 거치면 전국 규모의 축제로 발돋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뒤 “김두관 도지사의 격년제 지원약속도 있었던 만큼 현재 전무한 도단위 이순신 축제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강력한 지원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남해에 국한된 축제가 아닌 충남, 전남 등이 참여하는 전국규모의 민간조직을 별도로 구성해 운구행렬 재현을 중심으로 각 지역별 프로그램과 특화된 축제전략을 모색하는 기반이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들이 거듭 쏟아지면서 내년 승첩제의 방향이 ‘제’의 의미를 더욱 강하게 구현한 형태, 화전문화제가 열리지 않는 해의 ‘12월 16일 개최’, 새로운 민간조직(가칭 추진위원회)으로 승첩제의 발전적 해체와 행사성격 전환으로 무게를 싣는가 하더니 토론은 노량해전승첩제전위원회 유명규 회장의 발언으로 다시 외형상 원점으로 돌아갔다.

유 회장은 “출발부터 민간이 주도했고 10년간 끌어왔던 승첩제의 성격과 의미를 무시한 새로운 형태의 축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단정한 뒤 ‘천명’이라는 다소 강한 단어까지 쓰며 현재의 승첩제 계승·고수 의지를 밝혔다.

정현태 군수는 유 회장의 강력한 반발에 “운구행렬은 격년제로 하더라도 축제의 연속성을 위해 매년 승첩제와 같은 형태의 축제행사는 필요하다”고 한 뒤 “개최시기와 일정은 새롭게 구성될 민간조직에서 설정하되 기존 승첩제가 가진 의미를 일부 계승해 ‘축’과 ‘제’를 엄격히 구분하는 형태의 축제 개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는 일단 경남도 주관, 전국단위 민간추진위원회 구성 등을 전재로 운구행렬 재현의 격년제 개최방침만 잠정 확정된 가운데 향후 남해 군내 민간추진위원회를 구성한 뒤 개최시기, 축제명칭 선정 등에 대한 지혜를 모으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이날 토론회에서 남해의 이순신 추모행사와 관련, 경남도단위 지원 의사를 확인한 것으로 지역축제의 역량과 질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은 일면 다행스러운 일이다.

다만 현 단계에서 승첩제의 발전적 해체와 성격전환, ‘축’과 ‘제’의 명확한 성격 규정, 그를 위한 추진주체의 인적쇄신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중론을 이루는 가운데 지난 승첩제 평가 후 누가 그 역할을 담당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은 아직 명확치 않아 내년 승첩제의 향방은 아직 ‘안갯속 형국’이다.

결국 승첩제의 전면적 성격변화와 추진주체 변경을 위한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를 ‘누가’할 것인가 하는 과제가 내년 승첩제의 향방을 결정할 첫 단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