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 3일 발표한 ‘2009년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보면 남해의 산업별 취업자는는 모두 2만7100명으로, 농림어업인이 1만4700명, 공무원·교사·병원 종사자 등의 공공서비스업 종사자를 비롯한 개인사업자가 5200명으로 나타났다.
이 통계자료에서 주목되는 것은 얼마간의 돈이라도 버는 사람이 남해인구의 절반이지만 나이가 많아 일할 능력이 없는 연로자가 4700명으로 경남에선 두 번째이고, 이들을 포함한 비경제활동인구가 1만5500명에 이른다는 사실이다. 그나마 농어업의 경우는 고령인구도 취업자에 속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몇 년 안에 노동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은 노인층을 감안하면 남해의 경제활동인구가 갈수록 줄어들게 되어 있다.
이러한 통계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경제활동인구를 늘리기 위한 일자리 창출, 귀농·귀어 정책, 산업체 유치 등의 필요성은 누누이 강조해 왔던 문제이다.
하지만 최근 드러나고 있는 행정당국 등의 정책적 경향을 보면 생산성을 위주로 하는 것 보다는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소모적인 투자가 많다. 몇 년 사이에 거의 대부분의 마을에 마을회관이 신축되었다. 또 각종 복지회관, ㅇㅇ회관으로 이름붙여진 건물들을 적게는 2억원 내지 5억원을 들여 짓는 것을 허다하게 보아왔다. 최소 400억원 이상의 비용이 마을회관 등을 짓는데 들어간 것이다. 물론 마을회관이 불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너도나도 경쟁적으로 숙박이 가능한 마을회관을 짓는 행태는 주민들 스스로 비판하고 있을 정도다.
마을회관 뿐만 아니라 건물만 번듯이 들어서고 활용도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를 숱하게 보아온 군민들로서는 가뜩이나 확보하기 어려운 예산을 이왕이면 생산적인 활동에 투입하기를 바라고 있다. 또한 예산확보 과정에서도 생산적 정책을 실천할 수 있는 예산을 가져오길 원하고 있다.
비단 예산문제 뿐만 아니라 지역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산업유치의 뚜렷한 복안이 눈에 띄지 않는 것도 문제다.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기본 조건이 성숙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외부의 투자자가 관광시설에 투자하고자 한다면 이와 관련된 토지 확보, 정책적 지원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대형사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권역별로 개발계획을 미리미리 세워두어야 한다. 그릇이 없는데 어떻게 밥을 하겠는가.
또한 시설투자에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일자리 마련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경제활동인구를 남해로 불러들일 준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내실있는 경제활성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활력이 넘치는 남해를 만들어가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